Rainbow Bible Class

클린조크

"아이고, '대개'가 죽었습니다!"

 

 

주기도문의 끝부분은 송영(誦詠, doxology)이라고 합니다. 송영은 하나님을 찬양하는 노래라는 뜻입니다.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아버지 하나님께 영원히 있습니다!”(마태 6:13) 참고로, 고대 헬라어 사본들에는 주기도문의 끝에 붙어있는 이 송영은 없습니다. 아마 초대교회 시대에 주기도의 대미를 송영으로 장식하려는 예전에서 유래한 것이 아닌가 추측합니다.

 

어쨌든 외국어 번역에서처럼 한글번역에도 이 송영을 안내하는 독특하고도 어색한 단어가 있습니다. “대개”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단어의 뜻을 잘 몰라서 아무 생각 없이 “대개 나라와 권세와~~~”라고 암송합니다. 예전 개역성경에는 이 단어가 있었지만 지금은 무슨 이유에선지 몰라도 사라졌습니다. 어렸을 적부터 교회에 다니신 성도들은 주기도문을 암송할 때 무의식적으로 “대개 나라와 권세와~~”라고 합니다.

 

도대체 “대개”가 뭔가요? 물론 한자어입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대개”를 “대체로” 혹은 “그저 웬 만한 정도로 중요한 부분만을 대강으로 말해서”라고 생각합니다. 주기도문을 외우다가 끝에 가서 “지금까지 드린 기도는 대체로~~” 라는 느낌을 갖게 하는 단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경우 한자어는 “대개”(大槪)입니다.

 

그러나 우리의 선조들이 주기도문을 번역할 때 그런 한자어 ‘대개’(大槪)가 아니라 다른 한자어인 ‘대개’(大蓋)를 사용했습니다. 이 대개(大蓋)의 개(蓋)자는 뚜껑이나 덮개를 뜻하는 글자입니다. 따라서 대개는 “일의 큰 원칙으로 말하건대”라는 뜻입니다. 이제 기도를 다 드렸으니 기도의 큰 원칙으로 말하건데,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하나님께 영원히 있습니다!”라고 찬양하는 것입니다.

 

지금의 한글세대 교인들이 한자어 “대개”의 의미를 헷갈리거나 모르다보니 최근의 한글 성경 번역에선 아예 이 단어를 빼어버렸네요. 참 아쉬운 점입니다. 헬라어 원문에도 이 단어(ότι)가 버젓이 살아있기 때문입니다. 영어로는 For, 독일어로는 Denn, 네덜란드어로는 Want로 번역하였네요. 모두 이유 접속사(“왜냐하면”)로 번역했습니다. 그러나 한글로 “대개”(大蓋)로 번역한 것은 정말 잘한 것입니다. 문제는 ‘대개’가 죽어서 참으로 아쉽다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노파심에 한마디 하자면, 신학생들이여! 성경을 잘 이해하시렵니까? 성경을 원어로 배우겠다고 혹시라도 어줍지 않게 헬라어, 히브리어, 라틴어를 배운다고 기를 쓰지 마세요. 그런 언어는 좀 못해도 됩니다. 한글이라도 잘 하세요. 물론 한글의 60%이상이 한자어라는 사실을 명심하면서 말입니다!

 

결론적으로 이렇게 외칩니다.

          “대개를 살려내라!”

          “대개를 살려내라!”

          “대개를 살려내라!”

 

그리고 교회에서는 ‘대개’와 함께 하나님을 찬양하는 ‘송영’이 살아나야 합니다. 왜냐고요? 신학과 신앙은 궁극적으로 송영이기 때문입니다.

 

All Too Fall Colored Covered Bridge at Bennington, VT

benningtonVT.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류호준 교수의 무지개성서교실이 http://www.rbc2020.kr 로 리뉴얼하여 이전합니다. 류호준 2020.08.24 4395
공지 "무재개 성서교실은 여러분께 드리는 선물입니다!" [5] 류호준 2018.03.29 2928
» 신앙에세이: “아이고, '대개'가 죽었습니다!" [1] file 류호준 2017.09.23 1302
588 클린조크: "스타벅스의 상술인가 하나님의 섭리인가?" file 류호준 2017.09.22 569
587 "신학교육에 일침을 가하는 지혜자의 일갈!" [1] file 류호준 2017.09.19 560
586 “하나님의 진심을 알아가다” [2] file 류호준 2017.09.15 3153
585 “성경을 영적으로 제대로 해석하고 싶다면?” [2] file 류호준 2017.09.14 2179
584 “개신교는 가톨릭을 이길 수 있을까?” file 류호준 2017.09.13 1916
583 “하나님의 아픔, 하나님의 고통, 하나님의 쓰라림” file 류호준 2017.09.08 3457
582 “요한복음이 필요한 이유는?” file 류호준 2017.09.08 897
581 신앙에세이: “지금이야말로 교회개혁이 긴박한 때가 아닌가?” file 류호준 2017.09.03 602
580 “복음서에 관한 아주 참신한 책” file 류호준 2017.08.31 475
579 “성경은 정치적 문헌이다!” file 류호준 2017.08.31 359
578 영성 에세이: “좋은 눈” “착한 시선” file 류호준 2017.07.21 1710
577 영성 에세이: “샬롬과 안녕” file 류호준 2017.07.21 588
576 일상 에세이: “앙금들” [2] file 류호준 2017.04.04 587
575 Book Review: 김근주,《구약으로 읽는 부활신앙》(SFC, 2014) file 류호준 2017.02.24 1192
574 신앙 에세이: “교회의 유형과 찬송가” file 류호준 2017.02.21 670
573 단상: "감사주일"(Thanksgiving Sunday) file 류호준 2016.11.18 594
572 신앙에세이: "4대강의 근원을 찾아서" [2] file 류호준 2016.09.08 5232
571 일상 에세이: “박사학위를 했어도…” file 류호준 2016.08.04 1383
570 일상 에세이: "당신이 기억해야할 두 날짜" file 류호준 2016.08.03 2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