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교회와 세상의 관계에 대한 WCC의 이해 변천" - 두 가지 모델

 

현금 한국교회의 뜨거운 감자 이슈 중에 하나는 교회연합운동에 관한 것입니다. 특별히 2013년 부산에서 열리는 세계교회협의회(WCC) 총회에 관한 진보와 보수 교단 간의 날카로운 대립입니다. 아래는 WCC의 신학적 입장의 전환과 변화를 두 가지 모델로 설명하려는 논문의 개요입니다. 이 학위논문은 철학박사학위를 취득을 위해 2004년 미국 칼빈신학교에 제출한 조직신학 논문입니다. Benebo Fubara-Manuel, From ‘Winner’ to ‘Sign’: The Changed Understanding of the Church-World Relationship in Twentieth-Century Ecumenical Thought (Ph.D. Dissertation, Calvin theological Seminary, 2004), Supervisor: J. Bolt, External Reader: D. J. Bruggink.

 

[학위논문 개요]

 

세계교회협의회(WCC)에 대해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그룹들은 적어도 한 가지 점에서는 동의한다. WCC가 그 단체의 본래적 신학적 성격인 기독론적이며 삼위일체론적인 기초에서 벗어났다는 점이다. 어떤 사람들, 특별히 보수적 복음주의자들은 이러한 전환이 기독교적 복음전파와 그리스도의 유일성에서 떠나서 종교혼합주의를 통한 모든 인류의 하나 됨을 추구하는 쪽으로 기울어진 것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복음이 사회적인 일들로 대치되었다는 주장이다. 다른 사람들은 이러한 전환이 기독론에서 우주적 성령론으로 바뀌어간 것이라고 생각했다. 아니면 인류의 하나 됨에 대한 종말론적 비전으로부터 교회의 통일성이라는 좁은 시야로 변한 것이라고 이해하는 그룹들도 있다. 아니면 인류의 하나 됨이라는 좀 더 넓은 비전을 허락하지 않는 기독론 중심의 보편주의로부터 삶의 모든 분야와 창조의 모든 분야를 하나의 전망으로 포괄하는 삼위일체론적 비전으로 바뀌어간 움직임으로 이해하기도 했다.

 

이 논문이 주장하려는 바는 교회와 세상의 관계에 대한 20세기의 에큐메니칼적 이해의 전환은 기독론에서 성령론으로의 전환도 아니고, 기독론적인 보편주의에서 삼위일체적인 보편주의로의 전환도 아니고, 종말론적 비전의 상실도 아니라는 점이다. 에큐메니칼적 신학적 사고는 일관성 있게 기독론적이고 삼위일체적 기초안에 머물러 있어 왔으며 지속적으로 종말론적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전환이란 말인가? 구속의 영역으로서 교회에 대한 이해가 구속의 영역으로서의 세상에 대한 이해로 전환되었다는 것이다. 학위 논문은 이러한 전환을 가장 잘 설명해줄 수 있는 두 가지 모델을 제시한다. 하나는 세상을 얻는 승리자로 교회를 바라보는 틀이고(승리자 모델), 다른 하나는 세상을 향한 지표(Sign)로 교회를 바라보는 틀이다(지표 모델). 전자 모델에 따르면, 교회는 복음을 수단으로 삼아 그리스도를 위해 세상을 얻도록 부르심을 받은 존재로 스스로를 이해했다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류의 하나 됨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후자 모델의 경우, 교회는 그리스도를 위해 세상을 얻으려고 세상에 대항하여 서 있는 존재로 자신을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히려 세상과 연대하여 교회는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것을 하나로 묶으시는 하나님의 화해사역에 대한 지표(sign)로 자신을 이해한다는 것이다. 교회와 세상의 관계에 대한 20세기의 에큐메니칼적 이해에 있어서 전환은 바로 승리자 모델에서 “지표 모델로 움직여간 결과라고 주장하는 바이다. - 류호준 번역 -

 

 

 

Benebo Fubara-Manuel, From ‘Winner’ to ‘Sign’: The Changed Understanding of the Church-World Relationship in Twentieth-Century Ecumenical Thought (Ph.D. Dissertation, Calvin theological Seminary, 2004), Supervisor: J. Bolt, External Reader: D. J. Bruggink.

 

Many critics and supporters alike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contend that it has shifted from its original Christocentric and Trinitarian “Basis.” Some, especially conservative evangelicals, see this shift as a movement away from Christian evangelism and the uniqueness of Christ to the unification of all humanity in a syncretism of religions in which the gospel is replaced by social work. Others have identified the shift to be a movement away from Christology to cosmic pneumatology, or from an eschatological vision of human unity to a narrow vision of church unity, or from a Christocentric universalism, which did not allow for the wider vision of the unity of humankind, to a fuller Trinitarian vision encompassing all of life and all of creation in one grand view.

 

The argument of this dissertation is that the shift in understanding of twentieth-century ecumenical church-world relation is not from Christology to pneumatology, or from Christological universalism to Trinitarian universalism, or in a loss of eschatological vision. Ecumenical theological thinking has consistently remained within its Christological and Trinitarian “Basis” and has been consistently eschatological. The shift is from an understanding of the church as the sphere of redemption to that of the world as the sphere of redemption. The proposal in this thesis is that this shift is best understood by a contrast between two interpretive models which may be described as “the Church as Winner of the World” (the Winner model) and “the Church as Sign to the World” (the Sign model). In the former model, the church understands itself as called to win the world for Christ by means of the gospel and in that way to realize the unity of humankind. In the latter model, the church does not consider itself as standing over against the world in order to win it for Christ, but rather, in solidarity with it, as a sign to it of God’s reconciliation of all things in Christ. The shift in the twentieth-century ecumenical understanding of the church-world relation is the result of a move from the Winner model to the Sign model.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새로운 홈페이지로 이사합니다. 관리자 2020.08.03 8606
공지 류호준 교수가 추천하는 한글 주석 [3] 류호준 2013.03.09 202885
494 짧은 글: "한자어 유감 ‘기업’과 '세계'" 류호준 2012.01.27 7213
493 소감: N.T. Wright file 류호준 2012.01.27 2995
492 짧은 글: “느낌(感) 유감” file 류호준 2012.01.22 2644
491 짧은 글: “불량 부모 유감” 류호준 2012.01.21 2149
490 짧은 글: "헌금 유감" file 류호준 2012.01.20 2376
489 묵상을 위한 글: “어찌 까닭 없이 하나님을 경외하겠는가?” 류호준 2012.01.19 2530
488 묵상을 위한 글: “이 땅의 음식은 우리 몸에 맞지 않습니다.” 류호준 2012.01.15 2141
487 짧은 글: "현숙한 여인" 류호준 2012.01.10 3675
486 짧은 글: “성령과 회개” 류호준 2012.01.09 2420
485 짧은 글: “술 담배 유감” 류호준 2012.01.09 2391
484 묵상을 위한 글: “일상에도 있는 복음의 위로”(토마스 맨튼) 류호준 2012.01.07 2131
483 짧은 글: “몸매(身) 유감” 류호준 2012.01.07 2343
482 짧은 글: “두 명의 예수 이야기” 류호준 2012.01.06 2976
» "교회와 세상의 관계에 대한 WCC의 이해 변천" - 두 가지 모델 [2] 류호준 2012.01.06 7634
480 짧은 글: “오디오 비디오 유감” 류호준 2012.01.05 2018
479 짧은 글: "천국비유" 류호준 2012.01.05 2197
478 짧은 글: "한자어 유감" [1] 류호준 2012.01.01 2354
477 짧은 글 모음: twitter@danielryou - 29 류호준 2012.01.01 2282
476 묵상을 위한 글: “오늘이 마지막 날인 것처럼” 류호준 2011.12.26 2491
475 짧은 글 모음: twitter@danielryou - 28 류호준 2011.12.26 2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