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웃음은 신비로운 약입니다. 좋을 때든 끔직한 때든”

 

세계 2차 대전 때 나치의 유대인 대학살(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오스트리아 출신 유대인 의사 빅토르 프랭클이 있습니다. 그가 남긴 수많은 저서들 가운데 아마 가장 널리 알려진 책이 있습니다. 독일어원서로 Trotzdem Ja Zum Leben Sagen입니다. 한글로 의역하자면 “어떤 일이 있어도 삶에 대해서 예스라고 하세요!”일 겁니다. 영어로는 제목을 바꾸어 Man’s Search for Meaning라고 했는데, “삶의 의미를 찾아서”라고 하면 되겠습니다. 그 책 안에 있는 한 이야기입니다.

 

체코 테레진(Terezin)에 있는 나치 포로수용소의 어느 오후였다. 프랭클과 다른 죄수들은 수용소에서 상당히 떨어진 곳에서 노동을 마치고 터벅터벅 수용소로 돌아왔다. 모두가 탈진한 상태였다. 침대에 퍼져 누웠다. 배는 고팠고, 몸은 아팠고, 모두가 기진맥진했다. 때는 한 겨울이었고 끝없는 어둠만이 길게 드리운 날들의 연속이었다. 얼어붙는 빗길을 행진해서 막사로 돌아온 참이었다.

 

그들 중 한명이 갑자기 수용소 막사 안으로 뛰어 들어오더니 바깥으로 나와 보라고 소리를 쳤다. 막사 안의 사람들이 마지못해 일어나 비틀거리며 바깥으로 나가봤다. 마침 얼음비는 그쳤다. 그런데 보아하니 아주 조금, 그것도 구름사이로 내려오는 한줄기의 햇빛이 여기 저기 패인 콘크리트 바닥 물 고인 작은 웅덩이들에 어른거리고 있었다. 바로 거기에, 그들의 끔찍한 날들 한 가운데, 빛을 받아 어른거리는 작은 물웅덩이들이 있었다. 아니 어둡고 캄캄한 날들 한 가운데 한 줄기 햇살이 어른거리고 있었던 것이다.

 

프랭클이 말합니다. “우리는 거기에 얼어붙은 채 섰습니다. 어떻게 창조세계가 저렇게 아름답고 선할 수가 있을까 하고 소스라치게 놀랐습니다. 우리는 지치고 피곤했습니다. 춥고 병든 상태였습니다. 굶어 죽기 일보직전이었습니다. 우리의 사랑하는 사람들을 잃어버렸습니다. 그들을 다시는 보지 못할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거기에, 바로 거기에 서 있었던 것입니다! 소름끼치는 경외감을 느끼면서 말입니다. 이 세계만큼이나 오래되고 강력한 자세로 우리는 거기에 서 있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웃었습니다.”

 

“제주도의 하루” Credit 박정현 님

제주도의 황혼 박정현.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류호준 교수의 무지개성서교실이 http://www.rbc2020.kr 로 리뉴얼하여 이전합니다. 류호준 2020.08.24 4888
공지 "무재개 성서교실은 여러분께 드리는 선물입니다!" [5] 류호준 2018.03.29 3089
149 일상 에세이: “사진 찍어 주실 수 있겠어요?” [1] file 류호준 2018.06.20 445
148 신앙 에세이: “릴리아 모리스와 찬송가” file 류호준 2018.07.09 1152
147 일상 에세이: “님아, 그 물을 건너지 마오.” file 류호준 2018.07.09 481
146 클린조크: "성경적 여성주의"(Biblical Feminism) [2] file 류호준 2018.07.11 523
145 일상 에세이: “나이듬과 유머" file 류호준 2018.07.14 450
144 일상 에세이: “경찰관과 소방관” file 류호준 2018.07.15 282
143 신앙 에세이: “해시태그(hash-tag)가 된 여인 라합” [1] file 류호준 2018.07.16 797
» 신앙에세이: “웃음은 신비로운 약입니다. 좋을 때든 끔직할 때든” [1] file 류호준 2018.07.21 2372
141 일상에세이: “무엇이 당신의 유일한 위안입니까?” [1] file 류호준 2018.07.24 461
140 신앙 에세이: “달과 별들이 떠 있을 때” [3] file 류호준 2018.07.25 397
139 뒷 이야기: “설교자들 위한 책들”(비크너와 부르그만) [3] file 류호준 2018.07.27 1478
138 신앙에세이: "죄수 바울과 로마군 대대장 율리오 에피소드" [3] file 류호준 2018.08.02 687
137 일상 에세이: “에코 체임버를 경계하라!” [1] file 류호준 2018.08.04 422
136 클린조크: “좋은 놈, 나쁜 놈, 추한 놈” [1] file 류호준 2018.08.06 452
135 "출애굽 인구와 행렬 거리 측정" file 류호준 2018.08.07 996
134 신앙 에세이: “망망대해 풍랑 속에 일엽편주(一葉片舟)” file 류호준 2018.08.09 759
133 신앙 에세이: “두 눈으로” [1] file 류호준 2018.08.11 301
132 신앙에세이: "헌금 횡령 게이트" [1] file 류호준 2018.08.15 426
131 “누가 당신을 우리의 감독자로 세웠나요?” [1] file 류호준 2018.08.19 290
130 일상 에세이: “시실리(sicily)” [1] file 류호준 2018.08.22 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