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신앙 에세이: “제자도의 비용”

2018.05.09 23:21

류호준 조회 수:494

“제자도의 비용”

행전 18:8

 

 

예수를 믿고 따르려면 반드시 치러야할 대가가 있습니다. 제자도의 비용(Cost of discipleship)이라는 것이 그것입니다. 드는 비용을 지불을 하지 않고 예수를 따르는 사람들은 얄팍한 계산에 따라 예수의 팬(fan)을 자처하는 무리들일 수는 있지만 진정 예수의 참 제자들일 수는 없습니다. 오늘날에도 예수를 믿고 따르는 것이 결코 쉽지 않은 좁은 길입니다. 이 사실을 현대적 기독교인은 잊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아주 먼 옛날 초기 기독교회가 이곳저곳에서 생성되고 있었을 때, 바울 일행이 고린도 지역을 방문한 적이 있었습니다. 바울은 관례대로 안식일이 되면 유대교 회당에 들어가 강론하곤 했습니다. 당시 고린도에 있던 유대인 회당을 관리하고 책임지고 있었던 회당의 장(the synagogue ruler)인 그리스보가 바울의 설교를 듣고 예수를 믿게 됩니다. 자신뿐 아니라 자기 온 집안이 믿음의 길로 들어서고 세례까지 받았습니다. 훗날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기의 손으로 친히 세례를 베푼 고린도교회 교인 한 사람의 이름을 특별히 언급합니다. 그리스보입니다. 후에 고린도 교회에서 중추적 역할을 한 사람입니다(고전 1:14). 그러나 그리스보가 예수를 처음 믿기로 작정했을 때, 그는 결코 가벼운 결정을 내린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는 자기가 내린 결정 뒤에 무엇이 따르게 되는지를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회당장 그리스보가 예수를 믿고 따르기로 했을 때 그는 상당히 많은 것을 내려놓아야 했습니다. “회당 장”이란 명예로운 직함을 내려놓아야 했습니다. 그뿐 아니라 그동안 그가 유대인 공동체로부터 받았던 존경과 명예를 하루아침에 몰수당하는 치욕을 감내해야 했습니다. 동료 유대인들로부터 배신자란 낙인이 찍히게 되고, 공동체로부터 소외를 당해야 했습니다. 경제적 손해는 말할 것도 없고, 인간관계 역시 단절되었을 것입니다. 그가 직면한 소외는 곧 사회적 죽음을 의미했습니다.

 

그렇습니다. 예수를 믿는다는 것은 우리가 알고 있던 옛 세상과의 단절이며 죽음을 경험하는 길입니다. 이것이 예수를 따르는데 지불해야할 비용입니다. 그러나 그리스보는 그가 지불해했던 것보다 더 고귀하고 소중한 예수와 그의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되었습니다. 인생에 가장 위대한 결정을 내린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영원한 생명을 얻기 위해서라면 모든 것을 다 팔아 지불해야하지 않겠습니까? 예수를 믿고 그를 따르는 일은 인생에서 가장 위대하고도 위험천만한 결정입니다. 그리고 기억하십시오. 제자도(discipleship)는 말로 하는 것이 아니라 발로 걸어가는 것이라는 사실을.

 

In a cove on Bond Falls Flowage. MI, by Ralph McConahy

Ralph McConahy In a cove on Bond Falls Flowage..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류호준 교수의 무지개성서교실이 http://www.rbc2020.kr 로 리뉴얼하여 이전합니다. 류호준 2020.08.24 4888
공지 "무재개 성서교실은 여러분께 드리는 선물입니다!" [5] 류호준 2018.03.29 3088
749 일상 에세이: “나이듬과 유머" file 류호준 2018.07.14 450
748 클린조크: “좋은 놈, 나쁜 놈, 추한 놈” [1] file 류호준 2018.08.06 452
747 신앙 에세이: “몸으로 쓰는 율법” [1] file 류호준 2018.04.30 460
746 일상 에세이: "추억 불러내기" [1] file 류호준 2017.11.24 460
745 일상에세이: “무엇이 당신의 유일한 위안입니까?” [1] file 류호준 2018.07.24 461
744 청어람 강연: "예언서는 이렇게 읽어야 합니다." file 류호준 2018.03.23 469
743 일상 에세이: “추천서 유감” [1] file 류호준 2019.01.26 470
742 부고: "하늘의 부르심은 받은 유진 피터슨 목사님" file 류호준 2018.10.23 470
741 일상 에세이: “한번쯤은 밤하늘 아래 앉아” [2] file 류호준 2018.11.07 474
740 “복음서에 관한 아주 참신한 책” file 류호준 2017.08.31 477
739 일상 에세이: “님아, 그 물을 건너지 마오.” file 류호준 2018.07.09 481
738 [클린조크] "반전이 있는 명언" 류호준 2019.06.04 486
737 일상 에세이: "삶과 죽음의 경계선에서" [1] file 류호준 2019.05.10 487
736 일상 에세이: “적당하게”가 얼마나 어려운지요! [2] file 류호준 2018.04.15 493
735 일상 에세이: “스승 차영배 교수님을 추모하면서” file 류호준 2018.09.04 493
» 신앙 에세이: “제자도의 비용” [2] file 류호준 2018.05.09 494
733 일상 에세이: “세상풍경 일화: 포장마차에서” [1] file 류호준 2018.12.05 499
732 일상 에세이: "패러디 유감" [2] file 류호준 2018.05.01 500
731 신학 에세이: 바울과 베드로는 모세의 문장 형식을 표절했다? file 류호준 2017.10.07 503
730 신학 에세이: “믿음이란” file 류호준 2020.07.23 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