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번역의 예술: “하나님의 동역자들”

2014.06.16 22:25

류호준 조회 수:4268 추천:2

하나님의 동역자들

- 소유격 해석의 한 실례 -

 

히브리어에서도 그렇고 헬라어에서도 그렇고 한글에서도 그렇듯이 소유격 문구는 조심스레 해석해야 합니다. 한 가지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초대교회 당시 교회 내 분쟁과 분파로 몸살을 앓고 있었던 대표적 교회가 고린도 교회였습니다. 교회 내에 일종의 헤게모니 싸움이 있었습니다. 자연히 교인들은 자기들의 성향과 취향에 맞는 지도자를 중심으로 갈라졌습니다. 베드로를 추종하는 사람들, 바울을 추종하는 사람들, 아볼로 따르는 사람들 등으로 나눠졌습니다. 그래서 사도바울은 고전 3:9에는 다음과 같이 말씀합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동역자들이요 너희는 하나님의 밭이요 하나님의 집이니라.” 앞의 문맥(1-8)을 살펴보면 여기서 말하는 우리는 바울과 아볼로가 분명합니다. 그리고 너희는 고린도교회의 교인들을 가리킵니다.

 

문제는 우리는 하나님의 동역자라는 문구에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무런 생각 없이 바울과 아볼로를 하나님과 함께 일하는 사람(co-worker)으로 생각합니다. 달리 말해 바울과 아볼로는 하나님을 도와 하나님과 함께 하나님의 일을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완전히 잘못된 이해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용문에서 하나님의 동역자들하나님의 밭하나님의 집과 함께 문법적으로 나란히 병렬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세 개 문구는 모두 소유격 구문입니다. 그리고 소유격을 가리키는 ”(of)는 모두 주격소유격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하나님께서 소유하고 있는 동역자들, 하나님께서 소유하고 있는 밭, 하나님께서 소유하고 있는 집이란 말입니다. “동역자들”, “” “모두 하나님의 소유물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동역자들은 하나님과 함께 일하는 사람들이라는 뜻이 아니라, 하나님의 소유물이라는 뜻입니다. 하나님께서 시키시는 일(복음 전도사역)을 바울과 아볼로는 힘을 합쳐 동지애를 갖고, 동역하는 마음으로 함께 일하는 사람들이라는 말입니다. 따라서 여기서 동역자들이란 용어는 바울과 아볼로가 서로 함께 일하는 자들이라는 뜻이지, 그들이 하나님과 함께 일하는 동역자들이라는 뜻은 아니라는 말입니다. 물론 그들은 하나님께 속한 종과  하인들이니 하나님의 일을 충성스럽게 해야하는 자들임에는 틀림없습니다.


교회는 특정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파당을 짓거나 분열하면 안 됩니다. 목사파, 장로파, 권사파, 설립자파, 지식인파, 봉사파, 노래파 등등 자기들의 성향에 따라서 파당을 짓는 일은 그리스도의 몸을 자르고 상처내고 죽이는 일입니다. 무슨 바울파가 있고 무슨 아볼로파가 있단 말입니까? 뭔 전라도 사람들만 모이는 교회가 있으며 뭔 경상도 사람들만 모이는 교회가 있단 말입니까? 교회는 지연과 학연과 신분상으로 갈라지거나 나뉘면 안됩니다.  그러고 보니 하나님의 동역자라는 문구를 설명하다가 잠시 곁길로 갔습니다.  


다시 오늘의 주제로 돌아오자면, 혹시 성경을 읽으시다가 "소유격 표현"을 만나시거든 반드시 물어보십시오. 주격소유격인가 목적소유격인가 아니면 동격소유격인가 아니면 형용사적 소유격인가 하고 말입니다. 특별히 구약에선 예언서와 시편에 신약에선 서신서(특별히 바울서신)에 많이 사용됩니다. 공통점은 모두 이야기체가 아닌 경우입니다. 소유격 표현구를 잘 이해하시면 본문의 의미파악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질문.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류호준 교수의 무지개성서교실이 http://www.rbc2020.kr 로 리뉴얼하여 이전합니다. 류호준 2020.08.24 4888
공지 "무재개 성서교실은 여러분께 드리는 선물입니다!" [5] 류호준 2018.03.29 3088
469 “모세를 보라, 체력이 영력이다!” [4] file 류호준 2014.04.17 4199
468 “화 있을찌로다! 너희 ‘종피아’들이여!” file 류호준 2014.05.20 4219
467 "어디가 세상의 중심부인가?" (이사야서 큐티 30) 류호준 2011.07.14 4251
466 “설교 유감” file 류호준 2014.10.17 4258
» 번역의 예술: “하나님의 동역자들” [3] file 류호준 2014.06.16 4268
464 일상 이야기: “정 떨어지는 밥상” [4] file 류호준 2014.04.10 4300
463 "사순절의 세례전적 영성" [1] 류호준 2014.03.05 4344
462 "하나님이 택하신 유일한 종" (이사야서 큐티 80) 류호준 2011.10.19 4423
461 "하나님의 분노와 하나님의 명예" (이사야서 큐티 78) 류호준 2011.10.19 4431
460 백석신학저널 2013년 가을호 권두언 [3] file 류호준 2013.11.16 4434
459 " 하나님의 남은 자들" (이사야서 큐티 18) 류호준 2011.07.13 4468
458 울림이 있는 시: “그렇지 않을 수도” (제인 케니언) file 류호준 2015.06.08 4476
457 "권력과 부패" (이사야서 큐티 36) 류호준 2011.07.17 4501
456 “큰 집”(시편 127장) file 류호준 2014.03.29 4506
455 “시편과 내비게이션 그리고 크로커스” [2] file 류호준 2014.03.09 4511
454 "하나님의 펼쳐진 손" (이사야서 큐티 16) 류호준 2011.07.13 4515
453 "견고한 반석 위에 " (이사야서 큐티 44) 류호준 2011.07.19 4519
452 "거룩한 산 시온에 세워진 깃발" (이사야서 큐티 82) 류호준 2011.10.19 4528
451 "막을 수 없는 하나님의 계획" (이사야서 큐티 26) 류호준 2011.07.13 4553
450 "신실과 진실의 공동체" (이사야서 큐티 28) 류호준 2011.07.14 4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