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성경에서 말하는 악()의 포괄성

 

 

*****

 

 

()이란 단순히 좁은 의미에서 종교적이거나 개인적인 성격을 지닌 것만이 아니다. 예언서에서 강력하게 보여주는 것은 한 개인만이 악을 저지르는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국가와 민족들의 정책과 기관들도 악을 이루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가르침이다. 소위 구조악”(structural evil)이라 불리는 것들은 우리가 타락한 세계 안에 살고 있다는 가현적인 증거물이다. 악의 세력은 단순히 한 개인의 성향, 예를 들어 악한 생각, 미움, 거짓 증거, 훼방, 음란 등에서 멈추지 않는다. 악은 매우 미묘할 뿐만 아니라 분별해내기 어려울 정도의 위장을 통해 인간의 삶 속에, 사회의 구조와 국가의 기관들 속에 깊이 침투해 있다. 그것은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을 향한 조직적인 학대나 비인간적인 처우, 부정과 부패로 찌든 국가 기관들, 선진국 안에 편만한 황금만능주의, 독재 권력의 횡포, 성도덕의 타락, 집단적 이기주의의 발흥, 인간의 맹목적인 이익 추구에 황폐되어가는 자연 생태계, 우리 사회에 편만한 계급주의나 성차별주의, 국가 간에 존재하는 인종차별주의, 인간 삶을 오직 경제적인 측면으로만 환원시키려는 시장 경제주의의 단견, 인간을 오직 노동력 생산의 도구로만 인식하려는 유물론적 사고방식, 약한 자들의 노동력을 착취하는 잔인성, 정신적·신체적 고문과 같은 인권 유린, 정신적 폭력, 세계 도처에서 발생하는 인종 말살 정책, 대중 매체에 의한 인격 살해, 약소국에 대한 강대국의 주권 침해와 경제적 유린, 한 문화의 다른 문화에 대한 문화적 우월주의와 가치관의 강요 등등 다양한 모습과 형태를 띤 채 하나님의 통치를 혼란스럽게 만든다.

 

 

우리는 이미 인류 역사의 관찰을 통해 이러한 악들이 잔인한 순환을 계속해오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따라서 우리는 죄를 좁은 의미에서 종교적 문제예를 들어, 성수주일, 십일조와 같은 문제로만 국한하거나 축소하려는 신학적 사시(斜視)라는 병에서 치유를 받아야 할 것이다. 우리는 아직 온전히 회복되지 않은 이 세상이 보여주는 세계관, 죄로 오염되어 있는 이 세상이 우리에게 은연중 강요하는 도덕관에 대항해 성경의 세계관, 도덕과 가치를 담대하게 선포하고 그에 따라 살아야 하는 책임과 의무를 지니고 있는 무리들이다. 이 세상 나라들을 향해 제사장의 나라로 부르심을 받은 자들이 그리스도인들이 아니던가! 이 세상에 빛과 소금으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드러내야 하는 자들이 참 이스라엘이 아니던가! 하나님의 우주적 다스림을 종교적 측면으로만 환원시키려는 것은 그것이 의도적이든 아니면 무지에서 기인된 것이든 상관없이 성경의 하나님을 정당하게 취급하는 일이 아니다.

류호준·주현규(공저)아모스》 (새물결플러스, 2020, 7월 말에 출간예정), 151-152쪽에서

한강1.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류호준 교수의 무지개성서교실이 http://www.rbc2020.kr 로 리뉴얼하여 이전합니다. 류호준 2020.08.24 4725
공지 "무재개 성서교실은 여러분께 드리는 선물입니다!" [5] 류호준 2018.03.29 2936
269 "우리에게 거룩함이란?": 한 개혁신학자의 가르침 file 류호준 2016.04.14 1571
268 신간 출간:『이사야서 I: 예언서의 왕자』 [1] file 류호준 2016.07.26 1515
267 신앙 에세이: "썩는 냄새 진동하는 한국교회의 생태계" file 류호준 2015.10.29 1510
266 일상 에세이: "목사와 사모의 자기소개 유감" 류호준 2016.07.14 1509
265 신앙에세이: “크리스천들의 회향병(懷鄕病)” file 류호준 2015.07.19 1499
264 일상 에세이: 스테이크 하우스(Steakhouse) “아웃백”을 아시나요? file 류호준 2017.10.05 1496
263 신앙 에세이: “헤어짐은 언제나 낯설어요!”(목회 일화 3) [2] file 류호준 2018.02.12 1482
262 일상 에세이: “채소와 과일” file 류호준 2015.10.09 1476
261 신학 에세이: “입관과 빈 무덤” file 류호준 2015.12.09 1468
260 뒷 이야기: “설교자들 위한 책들”(비크너와 부르그만) [3] file 류호준 2018.07.27 1467
259 신앙 에세이: “복음”(福音)에 놀라본 일이 있던가요? file 류호준 2016.03.16 1465
258 신앙 에세이: 심중소회(心中所懷) [1] file 류호준 2016.04.23 1428
257 일상 에세이: “가을 소풍” [2] file 류호준 2015.10.18 1388
256 일상 에세이: “박사학위를 했어도…” file 류호준 2016.08.04 1384
255 일상 에세이: “프란치스코 교황 유감” [1] file 류호준 2015.09.28 1357
254 신학 에세이: “성경을 작은 교리서로 축소하지 마세요!” file 류호준 2015.09.17 1349
» 신학 에세이: “성경에서 말하는 악(惡)의 포괄성” file 류호준 2020.07.08 1341
252 신앙 에세이: “깨어 일어나라, 그가 오신다!” [1] file 류호준 2017.12.04 1336
251 신앙 에세이: "가게를 다시 열었습니다!" file 류호준 2015.10.08 1336
250 신앙에세이: “아이고, '대개'가 죽었습니다!" [1] file 류호준 2017.09.23 1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