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내가 믿나이다. 나의 믿음 없음을 도와주소서”

 

“곧 그 아이의 아버지가 소리를 질러 이르되 내가 믿나이다

나의 믿음 없는 것을 도와 주소서 하더라” - 막 9:24

 

정직한 회의론자의 도마의 고민을 생각하면, 저는 러시아 작가 도스토예프스키(Fyodor Mikhaylovich Dostoyevsky)를 떠올립니다. 도마처럼 도스토예프스키도 회의론자였고, 철저하게 의심하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의심을 소화할 수 없었기에 처절하게 고통스러워했습니다. 자신이 의심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 깊은 고뇌에 빠졌고, 괴로워했습니다. 그는 의심하기를 바라지 않았지만, 이 세상에 만연한 고통의 광경이 그를 의심의 골짜기로 몰고 갔습니다. 하나님이 계신다면 왜 이렇게 악이 많을까 하고 질문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믿고 싶었습니다. 의심하면 할수록 더욱더 신앙을 갖고 싶었습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자신이 만들어낸 영웅들의 입을 통해 자기의 의심과 회의를 쏟아냈습니다. ‘이반 카라마조프’가 바로 도스토예프스키의 영혼을 괴롭히는 의심을 대변하는 인물 중의 하나입니다.

 

카라마조프는 말합니다. “나는 하나님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내가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은 하나님이 창조하셨다는 이 세상입니다!” 부조리와 고통을 가득한 세상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래도 도스토예프스키의 마음은 신앙을 갈망했습니다. 그의 가슴은 그리스도를 갈망했습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다른 곳에서 이렇게 썼습니다.

 

“나는 그분보다 더 위대한 것은 존재하지도 않고 존재할 수도 없다고 나 자신에게 말합니다. 누군가 나에게 그리스도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증명한다면, 그분에게 진리가 없다고 증명한다면, 나는 진리를 얻기보다는 차라리 그리스도를 붙잡을 것이며, 그리스도 없이 잘되는 것보다는 차라리 그리스도를 모시고 잘못되는 쪽을 선택하겠습니다.”

 

류호준,「생명의 복음」중에서

 

돛단배.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새로운 홈페이지로 이사합니다. 관리자 2020.08.03 8443
공지 류호준 교수가 추천하는 한글 주석 [3] 류호준 2013.03.09 202415
134 묵상을 위한 글: “그리스도를 본받아 - 받아들임” file 류호준 2015.08.08 1066
133 묵상을 위한 글: “내 몫의 날들을 세는 지혜”(2) file 류호준 2015.11.07 1058
132 묵상을 위한 글: “능력의 회상자” file 류호준 2015.05.30 1050
131 묵상을 위한 글: “삶의 목적이 부여하는 자의식(自意識)” file 류호준 2015.09.20 1047
130 묵상을 위한 글: “그리스도를 본받아–오래 참음” file 류호준 2015.08.16 1047
129 묵상을 위한 글: “더 이상 삶의 문을 닫아 놓지 마세요” [1] file 류호준 2018.04.14 1036
» 묵상을 위한 글: “내가 믿나이다. 나의 믿음 없음을 도와주소서” file 류호준 2016.03.12 1020
127 묵상을 위한 글: “홀로 걸어가는 길이 아닙니다.” file 류호준 2015.09.27 1017
126 묵상을 위한 글: “모든 사람의 내면에선 부패하는 시신의 악취가 난다” file 류호준 2015.10.10 987
125 묵상을 위한 글: “한 가지 일” file 류호준 2016.01.16 952
124 묵상을 위한 글: “선물을 받는 용기” file 류호준 2015.11.16 909
123 묵상을 위한 글: “참된 예배는 ‘좋은’ 일입니다.” file 류호준 2015.10.03 909
122 묵상을 위한 글: “그리스도를 본받아–하나가 됨” file 류호준 2015.08.22 890
121 묵상을 위한 글: “곤비한 땅에 있는 큰 그늘과 같은 사람” file 류호준 2016.06.11 884
120 묵상을 위한 글: “관용할 수 없는 관용주의” file 류호준 2015.09.12 873
119 묵상을 위한 글: “너희가 먹을 것을 주어라” file 류호준 2015.12.12 872
118 묵상을 위한 글: “찬양은 예배의 전채(前菜, appetizer)가 아니다” file 류호준 2018.03.17 863
117 묵상을 위한 글: “기필코 그것들을 다시 사용할 것이다.” file 류호준 2015.11.21 857
116 묵상을 위한 글: “죄된 성품(sinful nature)을 변화시키는 첫 걸음” file 류호준 2018.03.10 851
115 묵상을 위한 단어: "양심" file 류호준 2020.04.04 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