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관용할 수 없는 관용주의

 

서서 진리로 너희 허리띠를 띠고” - 6:14

 

현대는 다양한 방식으로 신앙을 공격합니다. 그런 무서운 공격 중에 하나가 종교 다원주의입니다. 모든 종교에는 진리가 있기 때문에 절대적 진리를 말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생각입니다. 우리는 절대적 진리는 없다고 말하는 시대정신 속에 살고 있습니다. 진리에 대한 일종의 상대주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진리는 상대적이라는 것입니다.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누군가가 자신이 믿고 있는 진리를 절대적이라고 하면, 사람들은 그 사람을 외골수적이며 전근대적이고 심지어 민주적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겉으로 볼 때는 그럴듯합니다. 신사적이고 관용하는 태도를 갖고 있는 듯 보입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의 말씀만이 진리이며 진실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말씀 위에 모든 것이 서기도 하고 무너지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말씀만이 창조적인 힘(creative power)이기 때문입니다. 미래를 열어가는 원동력입니다. 천지를 창조하실 때 하나님이 말씀으로 모든 것을 존재하게 하셨고, 존재하는 모든 것이 창조적인 말씀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것처럼, 우리의 신앙과 삶을 유지시켜주는 유일한 원천은 진리이신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진리로 허리띠를 띠어야 합니다. 허리가 든든해야 온몸을 지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말씀으로 허리에 띠를 띠지 않으면 영적 전쟁에서 승리할 수 없습니다. 진리를 가볍게 여기거나 하나님의 말씀을 경홀히 여기는 교회는 영적 전쟁터에서 쉽게 무너질 것입니다. 진리를 온몸으로 체득하고 경험하고 살 때 비로소 우리는 이 험난한 세상에서 거침없이 활보하며 자유롭게 살 수 있을 것입니다.

 

- 류호준, 통일의 복음중에서


[Shanty Creek, MI by Jerry Hamberg]

Shanty Creek.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새로운 홈페이지로 이사합니다. 관리자 2020.08.03 8443
공지 류호준 교수가 추천하는 한글 주석 [3] 류호준 2013.03.09 202423
914 묵상을 위한 글: “정의와 평화가 포옹할 때까지” file 류호준 2015.12.05 735
913 묵상을 위한 글: “오랜 고통 중에 생각해야 하는 것” file 류호준 2018.02.10 736
912 묵상을 위한 글: “새로운 길의 안내자” file 류호준 2016.05.14 745
911 묵상을 위한 글: “내 몫의 날들을 세는 지혜”(1) file 류호준 2015.10.31 747
910 묵상을 위한 글: “관광객이 아니라 나그네입니다.” file 류호준 2016.01.30 755
909 묵상을 위한 글: “바람과 파도를 잠재우는 현존” file 류호준 2016.02.06 760
908 묵상을 위한 글: "빌라도, 그는 재판장이 아니라 피고였습니다!" file 류호준 2016.03.13 763
907 묵상을 위한 글: “그분은 그대들처럼 대충대충 하지 않는다.” file 류호준 2018.01.20 764
906 묵상을 위한 글: “먼지 위엔 아무 것도 세울 수 없다” file 류호준 2016.04.23 768
905 묵상을 위한 글: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두 가지 모델 (1)” file 류호준 2018.01.13 775
904 묵상을 위한 글: “어느 교회가 가장 사랑받을까요?” file 류호준 2016.03.05 782
903 묵상을 위한 글: “뒤돌아서 바라보니” file 류호준 2018.02.22 797
902 묵상을 위한 글: “기도와 주문” [1] file 류호준 2018.06.19 799
901 묵상을 위한 글: “다윗이 왕일 수 있었던 이유” file 류호준 2015.10.17 825
900 묵상을 위한 단어: "양심" file 류호준 2020.04.04 843
899 묵상을 위한 글: “죄된 성품(sinful nature)을 변화시키는 첫 걸음” file 류호준 2018.03.10 851
898 묵상을 위한 글: “기필코 그것들을 다시 사용할 것이다.” file 류호준 2015.11.21 857
897 묵상을 위한 글: “찬양은 예배의 전채(前菜, appetizer)가 아니다” file 류호준 2018.03.17 863
896 묵상을 위한 글: “너희가 먹을 것을 주어라” file 류호준 2015.12.12 872
» 묵상을 위한 글: “관용할 수 없는 관용주의” file 류호준 2015.09.12 8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