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한국성서대학교에서 구약학을 가르치는 강규성 교수가 작년 일 년 동안 미국 칼빈신학대학원에서 안식년을 보내면서 연구한 출애굽기 연구서가 책으로 출판되었습니다. 강규성,출애굽기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문예 신학적 읽기(예영 B&P, 2014), 428(정가 15,000). 책 안에 아래와 같은 추천사를 담아 봅니다.

 

 

추 천 사

 

 

구약성경 중에 인간의 삶에, 특별히 억압과 압제와 고난 속에서의 삶에 강력한 희망의 메시지를 던져주는 복음서를 들라하면 사람들은 한입으로 출애굽기를 말할 것입니다. 물론 그렇습니다. 출애굽은 하나님의 위대한 구원 역사의 절정처럼 보입니다. 거기엔 구원, 해방, 선택, 언약, 율법, 성막, 성전(聖戰)과 같은 중요한 신학적 주제들이 총 결집되어 있습니다. 지역적 표지만 해도 애굽, 광야, 시내 산이 돋보입니다. 성경에서 처음으로 듣게 되는 이름들도 만나게 됩니다. “모세”, “여호와”, “유월절”, “성막” “율법등과 같은 중요한 이름들입니다. 출애굽기의 히브리어 제목이 이름이라는 것이 결코 우연은 아닐 것입니다. 출애굽기는 오랜 세월동안 억압받는 사람들, 변두리 사람들,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들, 착취당하는 노동자들, 3세계의 빈민국민들에게 해방의 복음처럼 들리기도 했습니다. 오래전 라틴아메리카에서 해방신학이 태동되면서 출애굽기가 주류텍스트였다는 사실이 결코 이상하게 들리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출애굽은 구원역사의 시작은 아닙니다. 출애굽은 더 큰 이야기의 한 부분입니다. 출애굽은 낙원에서 시작하고 노아홍수사건에서 새로이 시작되며 아브라함의 소명 이야기 안에서 독특한 색깔을 입고 태어나는 하나님의 장엄한 구원사의 한 부분입니다. 아브라함을 불러내어 온 민족들의 복이 되게 하셨던 것처럼 하나님은 출애굽을 통하여 아브라함의 자손을 어둠 가운데서 한 언약백성으로 불러내어 온 세상 나라들의 복이 되게 하시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이스라엘의 소명 이야기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강규성 박사의 저서는 매우 탁월한 출애굽기 해설서입니다. 그는 출애굽기가 앞선 창세기에서 시작된 중요한 신학적 이슈들, 예를 들어 창조의 축복, 아브라함의 선택, 하나님의 임재와 같은 주제들이 이스라엘 민족과 국가의 차원에서 어떻게 전개되고 해결되어 가는지를 문예-신학적글쓰기라는 형식을 통해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저자가 문예적이라고 할 때 그는 출애굽기가 단지 율법들과 이야기들의 무질서한 혼합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내러티브라는 독특한 계시전달 방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숙지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마치 잘 구성된 이야기에는 플롯(plot)이 들어 있듯이 말입니다.

 

그가 출애굽기를 여호와의 구원”(1-18), “여호와가 맺은 언약”(19-24), “여호와의 임재”(25-40)라는 세 단락으로 구분지은 것은 적절한 시도입니다. 이런 구분은 애급, 시내 산, 성막 건축이라는 신학적 지형과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애급에서 나와 시내 산에 도착함으로써 하나님의 임재에서 추방되었던 아담의 후손들은 아브라함을 통하여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 다시 태어나게 됩니다. 거기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임재의 가시적 상징물인 성막을 건축하게 된다는 메타내러티브로 읽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저자는 이러한 스토리라인을 따라서 내러티브의 신학적 의미를 드러냅니다. 이렇게 하여 저자는 문예-신학적읽기를 시도하고 있는 것입니다. 보다시피 이러한 독서 전략은 독자들에게 큰 유익을 줍니다. 첫째로, 내러티브를 따라 이야기의 복선을 살펴볼 수 있는 전망대를 제공받게 됩니다. 둘째로, 이야기들의 정류소에서 독자들은 저자로부터 단락의 신학적 의미를 제공받는 유익을 얻게 됩니다. 이렇게 하여 독자들은 옛적 말씀인 출애굽기를 현대의 새 이스라엘 공동체로서 교회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듣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본서는 현대의 신앙 공동체에게 하나님의 위대한 구원 역사를 설득력 있게 전달합니다. 특히 가독성 있는 문체와 독자 친화적인 내용설명은 저자가 독자들에게 드리는 보너스 선물입니다. 출애굽기 본문과 함께 본서를 옆에 두고 단락별로 읽고 묵상한다면 더할 나위없는 영적 양식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류호준 목사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장, 구약학)

 

강규성.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류호준 교수의 무지개성서교실이 http://www.rbc2020.kr 로 리뉴얼하여 이전합니다. 류호준 2020.08.24 1646
1083 “누구의 조언을 듣겠습니까?” 류호준 2014.04.19 2380
1082 책 소개: 그레고리 보이드, 폴 에디(공저)『복음주의 신학논쟁』 [3] file 류호준 2014.04.15 4603
1081 유혹에 못이겨.. [3] 성훈 2014.04.10 2464
1080 책소개: 톰 라이트,『땅에서 부르는 하늘의 노래, 시편』 file 류호준 2014.04.09 4039
1079 교수님, 토론토에서 김윤규 목사 인사 드립니다. [4] secret 김윤규 2014.04.09 3
1078 예레미야서(과제물 안내) 류호준 2014.04.01 2710
1077 책 소개: J. 스코트 듀발,J. 다니엘 헤이즈 (공저),『성경실천』(성서유니온) file 류호준 2014.03.31 2855
1076 안녕하세요.... [3] secret 이정화 2014.03.29 3
1075 책 소개: "신앙 그 오해와 진실"(이민규박사) file 류호준 2014.03.27 3330
1074 봄인가 봅니다. [2] 비와고독 2014.03.25 1998
1073 아. 점심 먹을 시간이네. [1] 신재국 2014.03.20 2097
» 책소개: 강규성,『출애굽기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문예 신학적 읽기』 file 류호준 2014.03.15 3156
1071 책소개: "베드로전서 이해" (채영삼 박사) file 류호준 2014.03.11 3133
1070 "20년만의 만남"(기독신학원 입학 20주년) file 류호준 2014.03.09 2619
1069 책소개: "잠언의 의"(유선명 박사) file 류호준 2014.03.05 5646
1068 책소개: "톰라이트와 함께 읽는 사순절 매일 묵상집: 마태복음" file 류호준 2014.03.05 2608
1067 책 소개: "시편으로의 초대"(롤프 제이콥슨과 칼 제이콥슨 공저) file 류호준 2014.02.28 3547
1066 권호덕 박사 총장 취임식(사진) [2] file 류호준 2014.02.28 3287
1065 신입생 영성수련회(2014년도) file 류호준 2014.02.16 2786
1064 보고 싶어 들렸습니다 ㅎ [1] 신기영 2014.02.01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