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노트: "하나님의 주권과 악의 문제"

2009.04.14 10:55

류호준 조회 수:15743

“하나님의 주권과 악의 문제”

류호준 목사

2009년 4월 7일


리차드 마우 박사의 책,『칼빈주의, 라스베가스 공항을 가다』김동규 역 (서울: SFC, 2009)의 제 5장의 제목은 “고통과 하나님의 주권”입니다. 여기서 다루는 문제를 전문 용어로 ‘신정론’(theodicy)이라 부릅니다. 그러나 한글로 굳이 언어유희를 하자면 신정론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A. 신정론(神正論, theodicy) - “하나님이 정의로우신 분이라면 왜 이 세상에는 악이 있는가?” 악은 제어되지 않고 번창하고, 악인들은 번성하지만 의인들은 오히려 억울한 일을 당하고 고난을 당합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정의에 의문이 듭니다. 아니면 그분은 전능하신분이 아닌 것 같습니다.

B. 신정론(神政論, theocracy) - “하나님은 정말로 이 세상을 다스리고 계시는가?” 아무리 봐도 그런 것 같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유대인 대학살, ‘킬링필드’에서 일어난 비극, 지진과 해일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막대한 인명 피해, 아프리카 내전과 기아(饑餓)를 보십시오.

신정론(A)와 신정론(B)는 모두 우리의 신앙생활에서 가장 중요하고 실제적인 문제입니다. 두 가지 신정론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논의를 위해 편의상 구분할 뿐입니다.

 

신정론(神正論)에 대한 몇몇 기독교 작가들의 이해

아래의 작가들은 실제로 자신들의 삶에서 고난과 죽음과 불행을 겪으면서 동일한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집니다. “하나님의 주권을 믿는 크리스천들로서 자기들에게 닥친 이해할 수 없는 불행과 고통을 어떻게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단 말인가?”라고. 시간을 내어 일독을 권합니다. (참조, 엘리 위젤은 유대인입니다)

(1) C. S. Lewis, A Grief Observed (New York: Seabury, 1961) 
            =『헤아려 본 슬픔』강유나 역 (서울: 홍성사, 2004)

(2) Jerry Sittser, A Graced Disguised: How the Soul Grows Through Loss (Grand Rapids: Zondervan, 1995)
            =『하나님 앞에서 울다』이현우 역 (서울: 좋은 씨앗, 2001)

(3) Nicholas Wolterstorff, Lament for a Son (Grand Rapids: Eerdmans, 1987) 
            =『나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습니다』박혜경 역 (서울: 좋은씨앗, 2003)

(4) Elie Wiesel, Night (New York: Hill and Wang, 2006)
            = 엘리 위젤,『나이트』김하락 역 (서울: 예담, 2007)

(5) Frederick Buechner, Telling Secrets (San Francisco: HarperSanFrancisco, 1991)

(6) 류호준,『영혼의 겨울에 부르는 희망의 교향곡: 시편 사색 2권』(서울: 이레서원, 2008),
            pp. 75-89 (“하나님은 모든 것을 다스리시는가?”)

(7) N. T. Wright, Evil and the Justice of God (Downers Grove, Ill.: IVP, 2006)
            = 톰 라이트,『악의 문제와 하나님의 정의』노종문 역 (서울: IVP,
2008)

(8) 하나님,『욥기』(천당: 분당출판사, - 200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새로운 홈페이지로 이사합니다. 관리자 2020.08.03 8431
공지 류호준 교수가 추천하는 한글 주석 [3] 류호준 2013.03.09 201987
994 묵상을 위한 글: “영적 군사의 공격 무기” file 류호준 2017.08.16 354
993 묵상을 위한 글: “그리스도인이라면 어쨌든 ‘착해야’ 합니다.” file 류호준 2017.05.06 355
992 묵상을 위한 글: “은혜의 올가미” file 류호준 2017.02.18 362
991 묵상을 위한 글: “하나님의 웃음에 동참한 사람들” file 류호준 2017.07.19 366
990 묵상을 위한 글: “지혜, 분명하게 봄.” file 류호준 2017.08.31 367
989 묵상을 위한 글: “전복적(顚覆的) 복음” 류호준 2019.12.16 369
988 묵상을 위한 글: “제자도의 실제” file 류호준 2017.01.28 370
987 묵상을 위한 글: "우리를 악에서 구원하소서” file 류호준 2017.08.05 370
986 묵상을 위한 글: “이념이 아니라 진리를 따르게 하기 위해” file 류호준 2016.10.22 372
985 묵상을 위한 글: “지극히 현실적인 바보들” file 류호준 2017.01.14 375
984 묵상을 위한 글: “행복한 나그네” 류호준 2019.11.25 376
983 묵상을 위한 글: “광야에서 하늘로 난 유일한 길” file 류호준 2017.02.25 395
982 묵상을 위한 글: “구원처럼 신앙도 선물입니다.” file 류호준 2016.10.08 397
981 묵상을 위한 글: “잘못된 선택으로 생긴 상흔(傷痕)들이 가리키는 것” file 류호준 2016.10.02 398
980 묵상을 위한 글: “이스라엘의 충만한 범죄” file 류호준 2017.09.16 408
979 묵상을 위한 글: “하나님을 두려워할 때만 진리가 유지됩니다.” file 류호준 2016.08.27 414
978 묵상을 위한 글: "대림절이 시작되는 곳" file 류호준 2019.12.07 416
977 묵상을 위한 글: “너희를 홀로 두지 않을 것이다.” file 류호준 2017.06.05 421
976 묵상을 위한 글: “복음, 생명과 죽음에 관한 서술” file 류호준 2017.09.30 428
975 묵성을 위한 글: “‘존재’(being)와 ‘삶’(living)의 균형 잡기” file 류호준 2017.07.19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