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종말론적 신앙]

 

“주께서 곧 도착하실 겁니다.” (빌 4:5)

 

 

“종말론적 신앙”은 참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문구입니다. 먼저 ‘종말론’이란 단어자체가 그렇습니다. 역사의 마지막에 되어 질 일들에 관한 것이 종말론이기 때문입니다. 주로 사이비나 이단들이 이런 용어를 즐겨 사용합니다. 자기들만이 알고 있다고 선전하는 “역사의 시간표”를 빌미로 해서 사람들을 현혹시키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성경에서 말하는 ‘종말’은 시계로 측정되거나 달력에 표기할 수 있는 시간이 아닙니다. 종말은 말 그대로 ‘끝’입니다. 모든 것을 결정짓는 마지막을 가리킵니다. 따라서 불가분 ‘죽음’과 관련이 있는 셈이지요. 문제는 죽음의 시간이 언제인지 아무도 모른다는 것입니다. 언제 어느 때라도 여러분과 저의 죽음의 시간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종말’이란 단어는 우리에게 현재의 삶을 신중하게 생각하며 살라는 열쇳말(key-word)입니다. 죽음이라는 전망대에 서서 현재 우리의 삶을 바라보라는 뜻이 됩니다. 죽음을 기억하고 살라는 말도 됩니다. 라틴어 문구 가운데 Memento Mori(메멘또 모리)가 있습니다. “죽는다는 사실을 기억하라”는 뜻입니다. 삶을 한결 경건하게 살 수 있게 만드는 문구입니다.

 

그러나 죽음이 마지막 말일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종말론적 신앙은 죽음의 전망대에서 현재의 삶을 바라보는 그 이상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전망대에서 현재의 삶을 바라본다는 말입니까? “주님께서 오신다!”는 대림절(advent)의 전망대에서 현재의 삶을 바라보는 것이 종말론적 신앙의 핵심입니다.

  

    · 세상 돌아가는 일들에 대해 혼란스러울 때,

    · 덧없이 흘러가는 인생의 무상함과 부조리와 모순투성이를 바라보며 헷갈려할 때,

    · 우주의 중심이 어딜까 하며 까만 밤들을 새하얗게 지새울 때,

                   “주님이 가까이 오고 계시다”는 전망대 위에 서십시오.

 

경건한 기독교인들은 언제나 “주님이 가까우시니라!” “주여, 어서 오시옵소서!”라는 말 속에서 위안과 힘을 얻었습니다. 달리 말해 이 세상에서 당하는 수많은 고난과 괴로움과 모순과 부조리 가운데서도 “이 또한 지나가리라(This too shall pass).”라고 말할 수 있는 이유는 우주의 중심이 흔들거리는 내 자신이나 사회나 인류의 역사 안에 잇는 것이 아니라 주님의 오심, 오시는 주님 안에서 발견 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크리스천의 삶의 비밀공식입니다. 그리스도께서 내 피부만큼이나 가까이 와 계시다는 사실을 믿을 때, 비로소 염려와 근심들은 뒷전으로 물러나게 될 것입니다. 종말론적 신앙을 가질 때 우리는 넉넉히 이길 수 있을 것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새로운 홈페이지로 이사합니다. 관리자 2020.08.03 8604
공지 류호준 교수가 추천하는 한글 주석 [3] 류호준 2013.03.09 202873
474 묵상을 위한 글: “해피엔딩이 없는 세상에 파란을…”(김정훈) 류호준 2011.12.26 2289
473 묵상을 위한 글: “미래를 열어가는 자유” 류호준 2011.12.25 2020
472 짧은 글 모음: twitter@danielryou - 27 류호준 2011.12.21 2642
471 묵상을 위한 글: “자유를 향해 가는 오직 한 길” 류호준 2011.12.19 2121
470 짧은 글 모음: twitter@danielryou - 26 [1] 류호준 2011.12.13 3165
» 묵상을 위한 글: “주께서 곧 도착하실 겁니다.” [1] 류호준 2011.12.11 2750
468 “벧전 3:8~11절 묵상” (김정훈 목사) 류호준 2011.12.11 2682
467 묵상을 위한 글: “비록 밤이 길고 길지라도” 류호준 2011.12.10 2174
466 짧은 글 모음: twitter@danielryou - 25 류호준 2011.12.06 4373
465 "이제 집으로 돌아갈 때입니다." - 권두언(백석신학저널, 2011년 가을호) 류호준 2011.12.05 2875
464 묵상을 위한 글: “나의 권리를 주장하지 않는다” 류호준 2011.12.04 1979
463 짧은 글 모음: twitter@danielryou - 24 류호준 2011.12.02 2505
462 묵상을 위한 글: “하나님의 자비에 응답하는 예배(2)” 류호준 2011.11.26 2122
461 짧은 글 모음: twitter@danielryou - 23 류호준 2011.11.19 2399
460 묵상을 위한 글: “하나님의 자비에 응답하는 예배” 류호준 2011.11.19 2289
459 묵상을 위한 글: “하나님의 자비, 그리스도인의 삶의 동력” 류호준 2011.11.10 2417
458 묵상을 위한 글: “희망의 근거” 류호준 2011.11.05 2536
457 묵상을 위한 글: “하나님이 항상 주어(主語)십니다” 류호준 2011.10.29 2311
456 짧은 글 모음: twitter@danielryou - 22 류호준 2011.10.24 2231
455 묵상을 위한 글: “첫사랑을 기억하는 일” 류호준 2011.10.22 2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