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함께 춤을 추실래요?"

 

 

******

 

 

기독교인들에게 종종 은 좋지 못한 느낌을 줍니다. “춤바람이 났다!”는 말이 그런 뜻일 것입니다. 전통적으로 기독교에선 춤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해왔습니다. 이교주의와 연계성, 성적 자극 등으로 인해 그랬습니다. 또는 헬라 철학의 영향을 받은 영육 이원론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근데 이라 하면 부정적이면서도 댄스라면 덜 부정적인 것은 웬일일까요? 아마 서양의 포크댄스”(folk dance)가 떠올라서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근데 웃기는 것은 민속춤이나 민속무용도 영어로 포크댄스”(folk dance)라 한다는 사실입니다. 서양 것에 대한 맹목적 동경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기독교인들은 예배 시에 춤을 출 수 있을까요? 이른바 예배의 춤”(worship dance)말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 예배의식인 예전”(禮典, liturgy)의 일부로 행해지는 예전적 춤”(liturgical dance)말입니다. 20세기 후반부터 서구 교회에선 예전적 춤이 예배 시에 시행되기도 했고 지금도 그렇습니다.

 

 

예전적 춤에 대한 성경적 근거가 있을까요 없을까요? 있습니다! 언약궤가 다윗 성으로 귀환할 때 다윗은 너무 기쁜 나머지 타인의 눈을 상관치 않고 을 추지 않았던가요? “여호와의 궤가 다윗 성으로 들어올 때에 다윗 왕이 여호와 앞에서 뛰놀며 춤추었더라!”(삼하6:16; 대상15:29) 근데 다윗의 춤은 막춤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ㅎㅎ 달리 말해 여호와의 영에 이끌린 자연스런 막춤이 아니었을까 상상해봅니다.

 

 

한편, “예전적 춤의 원조는 다윗이 아니라 그 보다 한참 위로 출애굽 때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애굽을 탈출하여 홍해에 이르렀을 때 망연자실했던 이스라엘 백성을 위해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홍해를 가르십니다. “바로의 말과 병거와 마병이 함께 바다에 들어가매 여호와께서 바닷물을 그들 위에 되돌려 흐르게 하셨으나 이스라엘 자손은 바다 가운데서 마른 땅으로 지나간지라.” 기적적으로 홍해를 건넌 후에 모세는 그 유명한 모세의 노래”(15:1-18)를 지어 훗날 이스라엘 백성들이 예전적으로 노래하도록 명했습니다.

 

 

하나님의 위대한 승리를 목도한 미리암 역시 가만히 있지 않았습니다. 아론과 모세의 누이인 미리암이 소고 악기를 들고 나오자 모든 여인들도 미리암을 따라 나오며 소고를 잡고 춤을 추었다는 것이다!(15:20). 춤만 춘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위대한 일을 노래하는 내용으로 작사까지 한 것입니다. 가사와 악기와 신명나는 춤이 함께 어우러진 기쁨 충만한 예전적 춤마당이었다. “아론의 누이 선지자 미리암이 손에 소고를 잡으매 모든 여인도 그를 따라 나오며 소고를 잡고 춤추니 미리암이 그들에게 화답하여 이르되 너희는 여호와를 찬송하라! 그는 높고 영화로우심이요 말과 그 탄자를 바다에 던지셨음이로다! 하였더라”(15:19-21)

 

 

교회에서 그리스도인들과 함께 춤을 추실래요? 성령에 이끌린 막춤도 상관없어요. 왜 흑인 교회에서 몸을 흔드는지 아시겠습니까? 아프리카의 그리스도인의 예배를 목격해 보신 일이 있습니까? 몸과 영 모두를 사용하여 하나님을 찬양하고 노래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이게 성령과 진리 안에서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송축하고 예배하는 모습일 겁니다.

 

추신: 지금도 잊어지지 않는 기억은, 예수원의 대천덕 신부님께서 어느 집회시에 덩실덩실 춤을 추시던 모습입니다. ㅠㅠ 성령님에 이끌려 어린아이와 같이 천진난만하고 소박하게 웃으시며 춤을 추시던 모습을.

miriam-and-women-dancing.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류호준 교수의 무지개성서교실이 http://www.rbc2020.kr 로 리뉴얼하여 이전합니다. 류호준 2020.08.24 4725
공지 "무재개 성서교실은 여러분께 드리는 선물입니다!" [5] 류호준 2018.03.29 2936
49 "몸살 앓는 피조세계" [3] file 류호준 2019.08.07 368
48 신앙 에세이: “희망을 낚으려면” file 류호준 2020.03.06 365
47 일상 에세이: “강팔봉씨와 진달래” file 류호준 2020.03.30 365
46 “성경은 정치적 문헌이다!” file 류호준 2017.08.31 360
» 신앙 에세이: "함께 춤을 추실래요?" file 류호준 2020.01.24 354
44 일상 에세이: “예배 취소” 류호준 2020.02.28 351
43 신앙 에세이: “자동음성인식장치” [3] file 류호준 2018.08.24 350
42 신앙 에세이: “마음 씀씀이” [1] 류호준 2019.09.29 348
41 신앙 에세이: “비유와 예수와 하나님 나라” 류호준 2020.04.02 342
40 신앙 에세이: "주기도문과 교황의 해설" [1] file 류호준 2019.07.12 338
39 신학 에세이: “인격적 신과 몰인격적인 신” file 류호준 2020.07.23 335
38 일상 에세이: “9.19 남북 정상회담을 보면서 스쳐가는 생각들” [2] 류호준 2018.09.19 335
37 신앙 에세이: "조급함과 기다림" file 류호준 2020.03.22 329
36 신학 에세이: “히브리어 문자놀이" 류호준 2020.04.16 310
35 짧은 글: "성서해석과 성령과 기도" 류호준 2019.07.18 306
34 신앙 에세이: “나를 본받으세요!” file 류호준 2018.08.23 302
33 신앙에세이: "외국인 출입국 관리소에 가보신 일이 있나요?"(이범의) file 류호준 2019.11.08 296
32 신문사 대담: “목회자는 성경 무시하고 교인은 성경에 무지… 이래서야” [4] 류호준 2020.02.14 293
31 신앙 에세이: “코로나 시대에 어느 순례자의 고백” file 류호준 2020.03.22 293
30 클린조크: 정강이를 군화로 까여본 일이 없는 바울 [1] 류호준 2017.10.22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