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클린조크: "뚜레쥬르"

2020.01.12 15:48

류호준 조회 수:796

"뚜레쥬르"

 

 

요즘 한국의 대표적 베이커리하면 “파리바게뜨”와 “뚜레쥬르”입니다. 근데 착한 크리스천들은 “뚜레쥬르”를 좋아해야 합니다! 왜? 그 이름의 뜻이 매우 성경적이기 때문입니다. 알다시피 모르다시피 프랑스어인 “뚜레쥬르”는 “온 종일”(all the day)이란 뜻입니다.

 

시편 1장에 “복 있는 사람은 주야로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한다.”는 문구가 있습니다. “주야”(晝夜)는 순수한글로 “밤낮”입니다. 히브리어의 문학적 관습어로서 “주야”(밤낮)는 “온 종일”을 뜻합니다. 그니까 프랑스어로는 “뚜레쥬르”(Tous Les Jours), 즉 “온 종일”입니다. 그러나 착한 그리스도인, 복된 크리스천은 온종일 주의 말씀을 씹고 뜯고 맛보고 즐거워하는 사람들입니다. 어디서? 주님의 집에서, 주님의 빵집에서, 베들레헴에서, 생명의 빵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먹고 마시는 것입니다.

 

“온종일”이란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즐거울 때나 슬플 때나, 건강할 때나 병 들었을 때나, 성공할 때나 실패할 때나, 정상에서나 계곡에서나, 봄이나 여름이나 가을이나 겨울이나, 관계없이 “언제나” “늘”이라는 뜻 일겁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는 “온종일” = “주야로” = “밤낮으로” = “날마다” = “뚜레쥬르”에 해야 할 우리들의 과제입니다. 품격 있는 그리스도인이라면 잊지 말아야할 소중한 단어들, “온종일” “날마다” “주야로” “밤낮” “뚜레쥬르”입니다. 이 자그마한 단어들을 기억해보십시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류호준 교수의 무지개성서교실이 http://www.rbc2020.kr 로 리뉴얼하여 이전합니다. 류호준 2020.08.24 4725
공지 "무재개 성서교실은 여러분께 드리는 선물입니다!" [5] 류호준 2018.03.29 2936
209 일상 에세이: “선생님의 히브리어 타자기” file 류호준 2016.07.10 859
208 목회 에세이: “베뢰아 사람들만 같았으면” [1] file 류호준 2018.04.26 858
207 기도문: "나를 생각해 주십시오." file 류호준 2020.06.30 854
206 신학 에세이: “죽음, 낯선 친구” file 류호준 2018.02.26 844
205 평신도를 위한 성경공부: “가이사랴와 욥바에서 일어난 일” file 류호준 2018.01.03 840
204 신앙 에세이: “순결한 마음” file 류호준 2018.02.26 840
203 설교문: “재고조사와 결산” file 류호준 2017.12.19 830
202 일상 에세이: “보이는 게 전부가 아니지!” [6] file 류호준 2018.05.19 822
201 “하나님이 우리 곁에 안 계시는 듯한 어둠 속에 있을 때” file 류호준 2020.07.02 812
» 클린조크: "뚜레쥬르" [1] 류호준 2020.01.12 796
199 신앙 에세이: “해시태그(hash-tag)가 된 여인 라합” [1] file 류호준 2018.07.16 790
198 평신도를 위한 성경공부: “베드로의 투옥과 교회의 간절한 기도” file 류호준 2018.02.22 789
197 일상 에세이: "NIV 성경 이야기" file 류호준 2020.05.03 772
196 일상 에세이: "연필로 쓰는 이야기" [3] file 류호준 2018.05.12 770
195 일상 에세이: "숫자에 얽힌 사연" [2] file 류호준 2016.07.29 766
194 일상 에세이: “신학생들이여, 제발 한국어라도~” [5] file 류호준 2018.10.17 764
193 신앙 에세이: “망망대해 풍랑 속에 일엽편주(一葉片舟)” file 류호준 2018.08.09 750
192 신학 에세이: "돌(石)의 신학" file 류호준 2019.09.07 744
191 일상 에세이: “50년 만에 피는 야생화” [4] file 류호준 2018.01.25 743
190 설교문: “어찌하여 무서워하느냐?” file 류호준 2020.03.29 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