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대림절 이야기: “비극 속에 은혜의 빛줄기가”]

 

 

미국의 신학자이며 목사인 그레이그 반스(M. Craig Barnes)가 있습니다. 오랫동안 피츠버그 지역에서 목회와 그 지역 신학교에서 강의를 하던 중 지금은 프린스턴 신학교의 총장이 되어 일하는 목사 교수입니다. 마음 저미는 자서전적 설교에서 그는 자신의 슬픈 갈망과 허물어진 기대들에 대해, 그리고 그 안에 신비롭게 스며든 하나님의 은혜에 대해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

 

 

오늘이(2010. 12.5) 우리 형과 내가 우리 아버지를 장례했던 십년이 되는 날입니다. 아버지는 내가 16살이 될 때 집을 나가셨습니다. 가출하신 후로 그는 이리저리 도망하듯이 다니셨습니다. 형과 나는 아버지를 찾으려 나섰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냄새를 맡으셨는지 그는 곧 그곳을 떠나셨고 사라지셨습니다. 결국 플로리다 주 한복판 어딘가 너덜너덜한 이동용 자동차 단지(trailer park)에서 아버지는 시체로 발견되었습니다. 아버지를 알지 못하는 이웃 마을의 목사님은 이틀 동안이나 아버지의 가족을 수소문 했습니다.

 

우리 아버지는 그의 자녀들의 인생에 일어났던 중요한 추억들과 사건들을 다 놓치고 말았습니다. 졸업식, 결혼식, 손자손녀들의 출생, 형과 내가 목사로 안수 받던 날들, 나와 형이 모두 박사학위를 받던 날들, 이 모든 추억들을 다 놓치고 말았습니다. 저는 기도하고 기도했습니다. 아버지가 우리에게 돌아오시게 해달라고 기도했습니다. 저는 아버지께서 내가 목회하고 설교하는 교회에 나타나실 날들을 학수고대하며 꿈꿨습니다. 저의 간절한 소망과 바람은 그가 예배가 끝 난후, 저 뒤에 제가 서 있을 때 내게 다가와 손을 내밀면서 “잘했어, 아들아!”하기를 바랐습니다. 그러나 그는 결코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장례식에서 나는 넋을 놓고 관을 바라보았습니다. 그리고 내가 아버지를 위해 드렸던 그 수많은 기도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하고 생각하였습니다. 하늘의 마룻바닥에 뒹굴고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장례식을 마치고 나와 형은 아버지의 유품을 조금이라도 건져볼까 하고 그가 지내던 트레일러로 갔습니다. 아버지의 삶의 단편들을 수집하여 퍼즐 맞추듯 맞춰 아버지의 삶을 보고 싶어 하는 간절한 마음에서였습니다. 부엌에 가보았더니 아버지의 경건일기장이 있었습니다. 여러 성경구절에 대해 느낀 점과 자기가 드렸던 기도문들이 적혀있었습니다. 아버지께서 신앙을 버리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목이 메었습니다. 무거운 짐이 내 어께에서 벗어지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낡아서 너덜너덜하게 된 한 페이지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그 페이지 맨 윗줄에는 “매일의 기도 제목들”이라고 써져 있었습니다. 기도목록의 첫 두 줄에는 형과 내 이름이 있었습니다.

 

나는 아버지가 겪어야만 했던 그 외로운 광기(狂氣)를 영원히 이해하지 못할 것입니다. 그를 사랑했던 모든 사람들을 버리고 떠나도록 그를 내 몰았던 그 고독한 광기를 나는 온전히 이해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나는 그가 죽는 날까지 나와 형을 결코 잊지 않았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그리고 얼마나 감사하고 고마웠는지요. 처절한 고독 가운데 계셨던 아버지는 우리 두 아들에 대해서 하나님께 이런 저런 이야기를 드리셨던 것입니다. 비록 어떤 이유에선지는 모르지만 우리에게는 말하지 않았던 내용들을 하나님께 조곤조곤 말씀드렸던 것입니다. 그 와중에서도 나를 그 순간까지 견디어 낼 수 있도록 한 그분의 “충분한 은혜”가 그 안에 있었던 것입니다.

 

홈.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류호준 교수의 무지개성서교실이 http://www.rbc2020.kr 로 리뉴얼하여 이전합니다. 류호준 2020.08.24 4725
공지 "무재개 성서교실은 여러분께 드리는 선물입니다!" [5] 류호준 2018.03.29 2936
769 신앙에세이: “당신은 현대판 헤렘의 신봉자들인가요?” file 류호준 2018.10.24 388
768 일상 에세이: “감사하는 계절에” [3] file 류호준 2018.10.30 391
767 "문둥병, 나병, 한센병" 류호준 2019.08.03 395
» 대림절 이야기: “비극 속에 은혜의 빛줄기가” file 류호준 2019.12.10 398
765 수난주간 묵상: "40일간 광야에서(3)" file 류호준 2018.03.28 399
764 일상 에세이: “코로나바이러스와 제사장” file 류호준 2020.03.27 405
763 클린조크: Woe vs. Wow 류호준 2019.08.04 407
762 신앙에세이: "헌금 횡령 게이트" [1] file 류호준 2018.08.15 407
761 일상 에세이: “명예 유감" [1] 류호준 2019.06.18 412
760 일상 에세이: “에코 체임버를 경계하라!” [1] file 류호준 2018.08.04 412
759 신앙 에세이: “약속의 땅을 바라보며” file 류호준 2020.01.28 413
758 일상 에세이: “가는 세월” [4] file 류호준 2018.10.12 413
757 다니엘의 펀치 라인: "세개의 단상" 류호준 2018.01.23 421
756 일상 에세이: “자연을 사진에 담는 그리스도인” [1] file 류호준 2018.10.01 421
755 일상 에세이: “좋게 말하다” [1] file 류호준 2018.11.06 425
754 신앙 에세이: "믿음은 누구로부터 나오는 것일까?" 류호준 2018.01.01 425
753 시: “첨탑, 무덤. 하늘” file 류호준 2018.11.13 429
752 일상 에세이: “1 년짜리 유감” [2] file 류호준 2018.09.22 433
751 클린조크: “좋은 놈, 나쁜 놈, 추한 놈” [1] file 류호준 2018.08.06 435
750 일상 에세이: “사진 찍어 주실 수 있겠어요?” [1] file 류호준 2018.06.20 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