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성경을 봉독(奉讀)하는 이유”

 

******

 

“예수께서 그 자라나신 곳 나사렛에 이르사 안식일에 늘 하시던 대로

회당에 들어가사 성경을 읽으려고 서시매” (눅 4:16)

 

 

공중 예배 때 성경을 봉독하는 시간이 있습니다. 큰 소리를 내어 성경을 읽는 이유는 성경을 그렇게 읽는 것이 원래 그렇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성경은 가정이나 집에서 조용히 읽혀지도록 의도된 것이 아닙니다.

 

물론 성경을 조용히 읽거나 눈으로 읽는 것도 괜찮기는 합니다. 그러나 오리지널 하게 성경을 읽는 방식은 공중 예배 시에 목소리를 높여 크게 낭독하는 것이었습니다. 또 그렇게 하는 것이 대다수의 크리스천들이 들었던 유일한 방식이기도 하였습니다.

 

성경을 큰 소리로 낭독하는 관습은 교회가 처음으로 창안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유대교의 회당에서 전수되어온 전통입니다. 교회의 예배는 회당의 예배에서 출발하였다고 해도 과언은 아닙니다. 그리고 회당에서, 예배는 주로 성경을 경청하는 것이었습니다. 즉 성경이 낭독될 때 귀담아 듣는 일이 회당 예배의 핵심이었습니다. 회당 예배의 기능은 성경을 여는 것이었습니다. 성경에 집중된 회당 예배는 이스라엘이 바벨론에 포로로 사로잡혀 갔을 때로부터 유래합니다.

 

자, 외국 땅에서 낯선 자가 된 이스라엘 백성들이 무엇을 했습니까?

     ● 그들은 “이야기들”을 들려주었습니다. 그렇게 해서 사람들이 자기들의 “고향”이 어디 있는지를

        잊지 않게 하였습니다.

     ● 그들은 자신들의 자녀들에게 “이야기들”을 들려주었습니다. 그 자녀들이 그들이 누구인지,

        어디서 왔는지를 기억하게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 그들은 “옛 노래”를 불렀습니다.

     ● 그들은 “옛 신조”들을 낭송하고 되 내였습니다.

 

오늘날 우리의 교회들에서, 성경을 낭독하고 해석한다는 것은

     ● 이스라엘의 신앙을 다시 살아내는 것입니다.

     ● 포로로 사로잡혀간 이스라엘이 했던 것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 우리의 집이 어디인지, 우리의 고향이 어디인지를 잊지 않기 위해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 것입니다.

     ● 우리의 자녀들이 그들이 누구인지, 자신들의 정체성이 무엇인지를 알게 하기 위해서 그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입니다.

 

바벨론의 포로기 시절에서도 그러했던 것처럼 지금 오늘날도 이 사실은 신앙공동체에게 중요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류호준 교수의 무지개성서교실이 http://www.rbc2020.kr 로 리뉴얼하여 이전합니다. 류호준 2020.08.24 4738
공지 "무재개 성서교실은 여러분께 드리는 선물입니다!" [5] 류호준 2018.03.29 2944
809 오늘의 기도: “주님, 바다를 가르시고 풍랑을 잠재워 주소서” 류호준 2020.02.22 267
808 신앙 글: “좁은 길” 류호준 2019.12.05 267
807 신앙 에세이: “경이로운 하나님의 선택” [2] file 류호준 2020.01.04 271
806 일상 에세이: “경찰관과 소방관” file 류호준 2018.07.15 274
805 쉬운 신학 해설: "정의(正義)란?" 류호준 2019.10.05 276
804 “누가 당신을 우리의 감독자로 세웠나요?” [1] file 류호준 2018.08.19 282
» 신앙 에세이: “성경을 봉독(奉讀)하는 이유” [1] 류호준 2019.10.06 287
802 일상 에세이: “별들의 거리두기” file 류호준 2020.04.08 290
801 신앙 에세이: “두 눈으로” [1] file 류호준 2018.08.11 290
800 클린조크: 정강이를 군화로 까여본 일이 없는 바울 [1] 류호준 2017.10.22 290
799 신앙 에세이: “코로나 시대에 어느 순례자의 고백” file 류호준 2020.03.22 293
798 신문사 대담: “목회자는 성경 무시하고 교인은 성경에 무지… 이래서야” [4] 류호준 2020.02.14 293
797 신앙에세이: "외국인 출입국 관리소에 가보신 일이 있나요?"(이범의) file 류호준 2019.11.08 296
796 신앙 에세이: “나를 본받으세요!” file 류호준 2018.08.23 302
795 짧은 글: "성서해석과 성령과 기도" 류호준 2019.07.18 306
794 신학 에세이: “히브리어 문자놀이" 류호준 2020.04.16 313
793 신앙 에세이: "조급함과 기다림" file 류호준 2020.03.22 332
792 일상 에세이: “9.19 남북 정상회담을 보면서 스쳐가는 생각들” [2] 류호준 2018.09.19 335
791 신학 에세이: “인격적 신과 몰인격적인 신” file 류호준 2020.07.23 336
790 신앙 에세이: "주기도문과 교황의 해설" [1] file 류호준 2019.07.12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