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신학 에세이: "돌(石)의 신학"

2019.09.07 12:54

류호준 조회 수:745

돌(石)의 신학

 

흥미 있게도, 성경에는 돌에 관한 이야기가 많습니다. 특히 석조건물 건축에 관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고대 근동에서 왕궁과 같은 석조 건물을 완성하기 위해선 각종 건축자재들 가운데 중요한 “돌들”이 있어야 합니다. 성과 그 안에 왕궁을 건축할 때 사용되는 돌들입니다. 중요한 돌들로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건물의 기반이 되는 주춧돌(礎石, foundation stone)이 있고, 둘째, 건물의 벽과 벽을 연결하는 귀퉁이 돌, 혹은 모퉁이 돌(cornerstone)이 있고, 셋째, 성으로 들어가는 성문을 만들 때 맨 마지막으로 성문 중앙에 꽂아 넣는 머릿돌(冠石, 삿갓 돌, capstone)이 있습니다.

 

이 세 가지 용도의 돌들은 성과 왕궁이 지어져가는 순서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먼저 기초공사를 잘 해야 합니다. 반석위에 건물을 지어야 합니다. 이것이 기초가 되는 주춧돌입니다. 그 다음 건물을 지어 올라갑니다. 이 때 건물의 벽들을 세웁니다. 벽들은 대부분 ㄱ자 형태로 연결됩니다. 벽과 벽이 만나는 지점에 두 벽을 묶어 연결시켜줄 돌이 필요합니다. 이게 모퉁이 돌입니다. 그리고 성 안에 건축된 모든 건물들은 성벽에 둘러쳐져 보호함을 받게 됩니다. 성안으로 들어가는 유일한 성문이 완성되려면, 성문 양쪽 편에서 돌로 쌓아 올라가다가 좌와 우가 최종적으로 만나게 되는 지점에 마지막 한 개의 돌을 밖아 놓음으로써 왕궁건축이 완성을 짓게 됩니다. 이 마지막 한 개의 돌, 마치 화룡점정(畵龍點睛)을 찍음으로서 장엄한 건축물이 완성을 보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 돌이 머릿돌, 삿갓 돌이라 부르는 관석(冠石)입니다.

 

신약에서는 돌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성전, 그리고 그의 왕국에 적용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 왕국의 기초를 놓는 돌입니다. 그의 대속적 죽음은 하나님 나라 건축의 기초가 됩니다.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를 떠난 하나님 나라 건축은 불가능합니다(참조, 마태 7:24-27). 하나님 나라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마다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과 승천을 빼어놓을 수 없다는 뜻입니다. 둘째, 예수 그리스도는 하늘과 땅, 남과 북, 동과 서, 남자와 여자, 상전과 하인을 하나로 연결시켜주는 귀퉁이 돌입니다. 그는 화해자로 이 세상에 오셨습니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분열과 갈등, 분파와 적대, 양극화와 적개심을 해소해야하는 화해의 사명이 있음을 기억해야할 것입니다(참조, 고후 6:18-21). 마지막으로 하나님 왕국의 최종적 완공 역시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그가 관석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왕국으로 들어가는 자마다 그 머리 위에 예수 그리스도라는 관석(머릿돌)이 있음을 기억해야합니다(참조, 시 24:7-10).

 

순서를 보자면 먼저 기초를 놓고 그 다음 벽을 쌓고 마지막으로 성문에 관석으로 쐐기를 박음으로써 하나님 왕국 위대한 건설은 마치게 됩니다. 복음서의 중심 주제가 하나님 나라이고, 서신서의 중심 주제가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적 사역에 있다면, 하나님 나라는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적 사역을 떠나서는 이해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참조, 벧전 2:4-10; 사 28:16; 시 118:22). 우리 모두 “왕을 위하여”(Pro Rege)라고 외쳐봅시다!

관석.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류호준 교수의 무지개성서교실이 http://www.rbc2020.kr 로 리뉴얼하여 이전합니다. 류호준 2020.08.24 4727
공지 "무재개 성서교실은 여러분께 드리는 선물입니다!" [5] 류호준 2018.03.29 2936
209 신앙 에세이: “바나바를 기억하시나요!” [2] file 류호준 2017.12.20 668
208 목회자를 위한 클린조크 [2] 류호준 2017.12.22 533
207 “크리스마스의 신비” (성 요한 크리소스톰) [1] file 류호준 2017.12.26 704
206 평신도를 위한 성경공부: “룻다와 욥바에서 일어난 일” 류호준 2017.12.27 891
205 일상 에세이: “이렇게 살고 싶어요!" 류호준 2017.12.29 2276
204 일상 에세이: “교단 색깔론 심히 유감” [1] 류호준 2017.12.30 668
203 신앙 에세이: "믿음은 누구로부터 나오는 것일까?" 류호준 2018.01.01 425
202 평신도를 위한 성경공부: “가이사랴와 욥바에서 일어난 일” file 류호준 2018.01.03 840
201 신앙 에세이: "속이 상해도"(목회 일화1) [1] 류호준 2018.01.03 633
200 신앙 에세이: "울지마 주안아!" (목회 일화2) 류호준 2018.01.04 1002
199 신학 에세이: “가슴(심장)으로 성경을 읽다!” [1] 류호준 2018.01.06 719
198 클린조크: "하나님의 손 가방" 류호준 2018.01.06 526
197 신앙 에세이: “누가 알아듣겠나? 누가 이해하겠나?” 류호준 2018.01.13 535
196 시: "빨래줄"(Clothesline) [1] file 류호준 2018.01.13 1987
195 특강요약: “마음의 습관” file 류호준 2018.01.15 724
194 평신도를 위한 성경공부: “고넬료 집에서 일어난 일” 류호준 2018.01.17 533
193 다니엘의 펀치 라인: "세개의 단상" 류호준 2018.01.23 421
192 “고대 이스라엘의 정치” (Norman K. Gottwald) file 류호준 2018.01.24 625
191 평신도를 위한 성경공부: “같은 그리스도인들끼리 다투지 마세요” file 류호준 2018.01.24 510
190 일상 에세이: “50년 만에 피는 야생화” [4] file 류호준 2018.01.25 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