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신학생들이여, 제발 한국어라도~”

 

정규 신학생이라면, 즉 정규 신학대학원에서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구약성경이 히브리어와 약간의 아람어로, 신약성경이 헬라어로 기록되었다는 정도는 다 안다. 또한 신학대학원에서는 성경을 원어로 이해해야한다고 강조하면서 히브리어와 헬라어를 배우라고 한다. 학생들 역시 성경원어를 배우는 일이 아주 중요하다고 철석같이 믿는다. 하나님의 말씀을 올바로 이해하려면 원어를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평생 성경원어와 원문 석의 과목을 가르쳐온 사람으로서 이상의 말이 틀리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실제적으로 학생들이 신학교의 원어교육을 통해 어느 정도 그 언어를 알게 될까 하는 질문에 이르면 고개가 자동적으로 좌우로 돌아간다. 이게 누구의 잘못인가? 가르치는 사람? 배우는 사람? 커리큘럼? 교육환경? 글쎄올시다. 대답이 간단치 않다. 복합적이리라. 타 언어를 배운다는 게 어디 쉬운 일인가? 그럼에도 일주일 완성이니 삼일 정복이니 하는 허세광고들이 적지 않다. 모두 새빨간 거짓말이다.

 

그러니 솔직히 말해 신학대학원에서 언어교육은 진퇴양난이다. 어줍지 않게 배워서 원어 단어 몇 개를 가지고 부풀려 말하거나 설교하는 일도 적지 않음을 알고 있다. 이 문제는 나중에 다시 다룰 기회가 있으면 좋겠고..

 

종종 내 강의 시간에 학생들에게 이렇게 농담조로 말하곤 한다. “히브리어 헬라어 라틴어 한다고 폼 재지 말고, 한국어라도 잘 했으면 좋겠습니다. 근데 문제는 한국어의 상당부분이 한자어라는 사실입니다. 한자어인데 한글로만 표기되었기에 그 뜻을 모를 때가 종종 있습니다. 그러니 한자 공부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성경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입니다. 서양인에게 라틴어가 고전어라면 한국인에겐 한자가 고전어인 셈이니 어떻게 하겠습니까?”

 

젊은 세대의 신학생들이 한국어 책(번역 성경)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한자어 때문이라 말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듯하다. 소리 나는 대로 읽는 것과 그 문장을 이해하는 것은 아주 다르기 때문이다. 신학교의 학생들이 한번쯤 생각해 봐야할 심각한 문제다. 아니면 한국 교육의 민낯이던가. 신문을 제대로 읽어 낼 수 있는 젊은이들이 얼마나 될까 걱정스럽기는 한데 그래도 세상이 잘 돌아가는 것은 보면 신기하다.

 

한 예로,  수업시간에 “정결짐승”에 뭐냐고 물었더니 학생들 가운데 “정결”의 “정”(淨)자를 바를 정(正)라고 생각해서 “바른 짐승과 아닌 짐승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닌가! 헐. 이거 웃어야할지 울어야 할지!

 

****

 

(1) 여기 아래 사진은 [관주 성경전서: 간이 국한문](1964년판) 이런 거창한 한자어 제목부터 이해하기 쉽지 않을 듯. ㅠㅠㅠ

(2) 잠언 11장에서 한 구절을.....

성경전서.jpg

 

잠언.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류호준 교수의 무지개성서교실이 http://www.rbc2020.kr 로 리뉴얼하여 이전합니다. 류호준 2020.08.24 4725
공지 "무재개 성서교실은 여러분께 드리는 선물입니다!" [5] 류호준 2018.03.29 2936
829 Book Review: Interpretation 59 (October, 2005), pp. 428-429에 실린 류호준 교수의 서평 류호준 2006.10.03 89244
828 “십자가에 달린 예수님 좌우편 죄수들의 정체는?” [3] file 류호준 2014.03.20 66516
827 설교: “감사: 쟁기질 하듯이 그렇게”(추수감사절 설교문) [1] 류호준 2007.11.18 59799
826 시: 유고시 1 편 [7] 류호준 2007.06.12 34632
825 신학 에세이: “예언자들의 소명과 우리의 소명”(그말씀 12월호 게제) 류호준 2010.11.09 34273
824 “성금요일과 부활절 그리고 세월호” [4] 류호준 2014.04.18 31577
823 설교: "복음의 긴급성"(눅 10:1-20)(490주년 종교개혁 기념주일) [1] file 류호준 2007.10.29 22995
822 에세이: "나의 네덜란드 유학기" [2] 류호준 2007.11.03 22837
821 "철저한 하나님의 심판" (이사야서 큐티 27) 류호준 2011.07.14 21407
820 설교: “예수님처럼 사랑한다는 것” 류호준 2010.09.23 21056
819 회고 에세이: " “쓰지 말아야 했던 편지” [7] file 류호준 2010.07.23 20834
818 로마서 묵상(26): “하나님 도와주세요!” file 류호준 2010.11.03 20348
817 강해논문: "예레미야의 새 언약" (렘 31:31~34) file 류호준 2006.05.21 20311
816 설교: “환대의 향기” file 류호준 2010.10.10 20085
815 설교: “거인을 죽이는 강심장” file 류호준 2010.12.05 19678
814 신앙 에세이: "버는 것인가 받는 것인가?" [6] 류호준 2008.08.12 19604
813 “희망 없이는 살 수 없어요!”(묵상의 글) [2] 류호준 2008.02.19 19547
812 일상 에세이: “친구 하덕규 이야기” [4] file 류호준 2011.01.09 19456
811 신학 에세이: "겸손과 교만과 정의"(그말씀 3월호 게재예정) 류호준 2011.01.20 18862
810 번역에세이: 희망 (바라는 것) 류호준 2007.12.07 18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