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무엇이 당신의 유일한 위안입니까?”

 

신앙 고백은 언제나 일인칭으로 한다. “나는 믿습니다.”, 혹은 “우리는 믿습니다.” 라고. 물론 믿는 내용이 담겨져야 하겠지만 말이다. 주님의 교회는 역사상 수많은 신앙고백 문서들을 생산했다. 그중 내 개인적으로 매일같이 늘 읊조리고 암송하는 신앙고백문장 하나가 있다.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문답서의 제 1항이다. 문장 자체가 생사고락 전체를 포괄하듯 실존적이며, 양떼들을 부드럽게 돌보듯 목회적이며, 흙과 땀 내음을 담아내듯 소박하게 지상적이며, 그 고백하는 언어가 부드럽고 온화하며, 그 영성의 뿌리 또한 깊고 깊다.

 

내가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문서에 깊은 감명을 받게 된 연유는 1981년 미국 캘빈신학교를 다니던 시절 조직신학 수업시간 때였다. 선생님은 프래드 클루스터(Fred H. Klooster) 박사님(1922-2003)이였다. 당시 선생님은 60대에 진입한 노숙한 학자였고, 언제나 기도로 수업 시작하였다. 두꺼운 뿔테 안경너머로 학생들 하나하나에게 진지하게 강의하던 생각이 떠오른다. 돌아가신 선생님이 오늘처럼 무더운 날에 더욱 보고프고 그리운 것은 웬 일일까? 당시 유럽의 학자들이 종종 그랬던 것처럼, 연구실 창문으로 힐끗 들여다본 선생님은 담배 파이프를 물고 두꺼운 책을 – 지금 와서 돌아보니 아마도 칼 바르트의 교의 신학이었던 것 같다 - 보고 있었다. 파이프 담배향이 얼마나 그윽했는지 학교복도 안에 은은하게 펴졌고, 내 눈에는 아주 멋져보였다.

 

평생 하이델베르크 신앙고백서 연구로 신학계에 커다란 족적을 남긴 선생님에게 조직신학서론(prolegomenon), 기독론과 구원론 그리고 종말론 등을 배웠다. 수업 시간에 들어오신 선생님은 자주 하이델베르크 신앙고백 제 1문항을 되 내이시곤 하셨다. 아마 그 때의 인상이 내게 깊게 새겨졌나 보다.

 

신학교를 졸업한 후에 북미 기독 개혁교단(Christian Reformed Church in North America)의 목사로 안수를 받고 목회를 할 때, 제일 먼저 한 일이 주일 저녁 예배에 하이델베르크 신앙고백문을 본문삼아 가르치고 그것을 설교한 일이었다. 일명 교리문답 설교(Catechism Preaching)였다. 지금은 잘 모르겠지만 당시에는 모든 개혁파 교회 목사들은 주일 저녁 예배에 의무적으로(?) 하이델베르크 신앙고백문을 가지고 설교하도록 되어 있었다. 어쨌든 하이델베르크 신앙고백서를 한글로 번역하여 그 번역본을 가지고 교인들에게 가르치고 설교했다. 그리고 언제나 제 1항을 반복해서 외우도록 했다. 일인칭 고백으로 말이다.

 

내가 소장하고 있는 소중한 물품들이 몇 개 있는데, 그중 두 개가 서예작품이다. 하나는 앞서 올린 “풍·도·기”(風·道·祈)이고, 다른 하나는 하이델베르크 제1항 서예작이다. 내가 섬기는 교회에 서예가 권사님이 계시는데, 목사가 저 신앙고백을 얼마나 좋아하는지를 아시고 써서 표고까지 해서 주신 선물이다. 누워서도 읽고, 서서도 읽고 방을 배회 하면서도 읽고, 쳐다보면서 읽는다. 고백하듯이 말이다. 그것도 일인칭 단수형 고백으로.

 

*****

추신: 며칠 전 7월 18일이 하이델베르크 신앙고백서의 주 작성자인 우르시누스의 생일인데, 깜박 잊었다. 생일 축하합니다. 우르시누스~~

 

(1)프래드 클루스터,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의 기원과 역사》, 미간행 1981년 판이다. 468쪽.

(2) 하이델베르크 신앙고백 제 1항 족자는 한빛 한상미 작

하이델베르크.jpg

 

한상미.jpg

 

클루스터.jpg

 

klooster.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류호준 교수의 무지개성서교실이 http://www.rbc2020.kr 로 리뉴얼하여 이전합니다. 류호준 2020.08.24 4727
공지 "무재개 성서교실은 여러분께 드리는 선물입니다!" [5] 류호준 2018.03.29 2936
829 일상 에세이: "고구마캐기 체험행사와 사회학 개론" [1] 류호준 2019.10.09 180
828 짧은 글: “다시”와 “달리” 류호준 2019.09.28 183
827 신앙에세이: “때 이른 죽음”(An Untimely Death) 류호준 2019.11.25 187
826 신앙 에세이: “전복적 메시지” file 류호준 2020.03.19 193
825 신앙 에세이: "부패한 선지자들과 제사장들을 향한 일갈" 류호준 2019.10.08 193
824 일상 에세이: “함께 살지 않아서…” 류호준 2019.11.25 198
823 신앙 에세이: “길(道)의 사람들” file 류호준 2020.03.03 200
822 신앙 에세이: “오래전 어떤 조언” 류호준 2020.01.27 206
821 신앙 에세이: “한결같이” file 류호준 2020.02.11 212
820 신앙 에세이: “추방과 희망” file 류호준 2020.04.16 213
819 신학 에세이: “교회공동체와 전선(戰線)” 류호준 2020.02.26 213
818 신앙에세이: “만나도”와 “당해도” file 류호준 2019.11.23 241
817 신앙 에세이: “하나님의 평강과 생각거리” file 류호준 2019.11.25 243
816 일상 에세이: "세례와 세척" file 류호준 2019.07.15 243
815 사순절 묵상: “저는 괜찮은 죄인인데요?” file 류호준 2020.03.04 244
814 일상 에세이: "진영논리와 시민성" file 류호준 2019.10.23 258
813 신앙 에세이: “판단과 비판” file 류호준 2020.04.14 260
812 일상 에세이: “30년 만에 심방” 류호준 2019.09.04 261
811 클린조크: "나도 종말론 집회를 할까?" [1] 류호준 2020.01.08 262
810 신앙 글: “좁은 길” 류호준 2019.12.05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