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보트”(boat)와 “다리”(bridge)

2014.02.02 16:31

류호준 조회 수:3415

보트”(boat)다리”(bridge)

 

 

꿈과 의욕에 찬 한 젊은 백인 신학생이 신학교를 졸업하고 목사가 되어 원주민 인디언들이 사는 외진 지역으로 파송을 받아 선교하러 갔습니다. 그 지역은 제대로 현대식 교육을 받지 못한 채로 대대로 내려오는 연어잡이로 생계를 꾸려가며 그들만의 전통을 이어나가고 있던 인디언 부족이었습니다. 이런 열악한 환경에서 사는 원주민들을 보면서 그는 의욕으로 넘쳤습니다. 도착하자마자 자신의 꿈을 담은 설교를 시작했습니다. 그의 설교는 보트”(boat) 은유를 사용하여 그곳에 있는 사람들에게 자기의 선교사역의 꿈을 펼쳐 보였습니다. “보트를 만들어 여기에 있는 젊은이들을 더 큰 세상, 즉 백인들이 사는 개화된 세상으로 태워 가겠습니다.”

 

그는 선교사로서 피선교지인 인디언 부족들을 계몽시키고 교육시켜 더 큰 세상으로 나아가게 하겠다는 생각을 한 것입니다. 모름지기 그는 선교에서 자신은 이고 토착 인디언들은 이라고 생각한 것이었습니다. 그들의 풍습과 습관과 전통을 뜯어고치고 개선하겠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사명감으로 가득한 선교사의 설교는 그곳 사람들의 마음의 문을 여는 데는 턱없이 힘이 없었습니다. 무관심과 냉소로 응답된 고된 신고식을 마친 그는 혹독한 시절을 보내게 됩니다. 일 년이 지난 후 비로소 그는 깨닫게 됩니다. 선교란 먼저 그들의 마음을 얻는 일이라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일방적으로 그들을 가르치거나 고치려는 생각이 아니라, 또한 피선교지와 피선교지의 사람들을 선교사의 꿈과 이상을 실현하는 장소나 대상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배우게 됩니다. 그는 자기가 원주민을 가르쳐야하는 것보다는 그들로부터 더 많이 배워야 할 것이 있다는 사실을 깨우치게 됩니다. 점점 사람들의 마음들이 열리기 시작하게 됩니다.

 

그곳에서의 사역이 일 년이 되던 어느 주일에 그는 설교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일 년 전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그 때 저는 여러분들에게 보트를 만들겠다고 말했습니다. 저는 더 이상 보트를 만들 생각을 내려놓았습니다. 이제 저는 다리를 놓으려고 합니다. 여러분과 제가 진정으로 만나는 다리 말입니다. 여러분을 위해 다리를 만들겠습니다.” 이 다리는 세대와 세대 간의 다리, 계층과 계층 간의 다리, 백인과 인디언 간의 다리, 종교와 종교 강의 다리, 문화와 문화 간의 다리로 확대되어야 할 것입니다.

 

마가릿 크레이븐,올빼미가 내 이름을 부르는 소리를 들었습니다!(원제, I Heard The Owl Call My Name) =이 숲에서 우리는 행복했다김민석 번역 (검둥소, 2007)를 읽으면서 떠오른 단상 

 

owlname.jpg 올빼미.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류호준 교수의 무지개성서교실이 http://www.rbc2020.kr 로 리뉴얼하여 이전합니다. 류호준 2020.08.24 4871
공지 "무재개 성서교실은 여러분께 드리는 선물입니다!" [5] 류호준 2018.03.29 3070
409 포스트모던 시대에서 복음의 변증 (1) 류호준 2013.04.13 5370
408 포스트모던 시대에서 복음의 변증 (2) 류호준 2013.04.13 4676
407 일상: “반짝 반짝 작은 별” file 류호준 2013.07.19 9013
406 출애굽기: "만나: 하나님이 내려주신 하늘의 음식" file 류호준 2013.07.29 5848
405 출애굽기: "유월절과 오순절" file 류호준 2013.09.21 5474
404 “신학 교육과 목회자 양성” file 류호준 2013.09.24 11079
403 오해되고 남용되는 성경구절 시리즈 (1) [8] file 류호준 2013.10.01 6389
402 백석신학저널 2013년 가을호 권두언 [3] file 류호준 2013.11.16 4433
401 “영적 독서(렉시오 디비나, Lectio Divina)의 한 예” file 류호준 2013.12.03 4625
400 독서평: “어느 순례자의 수채화”(이한우) [2] file 류호준 2013.12.11 4025
399 “성탄절 섞어찌개 비빔밥 짬뽕 이야기” file 류호준 2013.12.29 4088
» “보트”(boat)와 “다리”(bridge) [1] file 류호준 2014.02.02 3415
397 "스승인가 아버지인가?" - 번역인가 반역인가? file 류호준 2014.02.27 3567
396 "믿음만능주의를 경계한다!" [2] file 류호준 2014.03.01 4017
395 "사순절의 세례전적 영성" [1] 류호준 2014.03.05 4343
394 “인생은 한줌의 흙” [1] 류호준 2014.03.05 3951
393 “시편과 내비게이션 그리고 크로커스” [2] file 류호준 2014.03.09 4510
392 “십자가에 달린 예수님 좌우편 죄수들의 정체는?” [3] file 류호준 2014.03.20 66569
391 “별이 빛나는 밤” - 돈 맥리앤과 빈센트 반 고흐 [3] file 류호준 2014.03.28 7133
390 “큰 집”(시편 127장) file 류호준 2014.03.29 4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