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장로교인들은 무엇을 알고 믿어야 하는가?”
                                                  - 장로교 개혁신학의 특성들 -

                                     류호준 목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장, Ph.D)


[들어가는 말]

한국 기독교 안에서 여러 종류의 교단(교파)들이 있습니다. '가족 은유'(family metaphor)로 말하자면 한 부모아래 있는 형제자매들과 같습니다. 한 부모 아래 여러 자녀가 있는 것 처럼 기독교 교파들은 하나님의 여러 자녀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주님으로 고백하는 일에 있어서 공통분모를 갖고 있으면서도 나이와 생김새와 억양과 기질과 성품에 있어서 서로 다른 형제자매들이라 생각하면 좋을 것입니다. 그러니 서로 잘났다고 으스대거나 다투면 우리의 아버지 하나님께서 서운해 하실 것입니다. 그런데도 우리가 장자교단이니, 내가 너보다 크니, 우리가 정통이니 하며 다툴 때가 있습니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입니다. 좌우간 한국의 기독교 안에는 다양한 교회와 교파가 있습니다. 편의상, 역사와 전통과 외형적 크기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자면 장로교, 감리교, 성결교, 침례교, 오순절 계통의 순복음 교회 순이 될 것입니다.

본 글은 여러 교파 중에서 특별히 장로교 신학적 전통에 서있는 교인들을 위해 쓰여졌습니다. 장로교인들은 역사적으로 어디에서 유래하였으며, 어떤 신앙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어떤 방식으로 신앙을 표현하며, 어떤 신앙의 문법과 억양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 차분하게 따져보려 합니다. 이렇게 하려는 목적은 앞으로 우리의 뒤를 따를 신앙의 후배들을 위하여 신학적 이정표를 제시하기 위함입니다.

현실적으로 한국의 상당수의 장로교인들은 자신들이 믿는 신앙의 내용이나 본질에 대해 별로 관심이 없거나 혹은 잘 모르는 것 같습니다. 좀 과하게 말해서, 기껏해야 교회의 직제 가운데 장로가 있고, 장로들이 교회를 이끌어가는 주요한 사람들이며, 지역 교회의 상급 기관으로는 노회와 총회라는 기관이 있다는 정도의 지식이 그들이 장로교에 대해서 알고 있는 전부인 것 같습니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 가운데 안수집사나 장로 직분을 갖고 있는 분들이 많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교회 정치와 운영에는 관심이 많지만 신앙과 신학의 내용에 대해서는 실상 별로 관심이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매우 서글픈 현실입니다. 그분들이 교회의 기둥과 같이 신앙적으로 신학적으로 흔들림 없이 서있을 수만 있다면 한국의 장로교회들은 현재보다 훨씬 건강하고 뼈대 있는 성경적 교회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추측하건데, 이 글을 기꺼이 정독하시려는 읽는 분들은 아마 교회와 신앙과 신학에 대해 좀 더 깊이 알고자 하는 갈망이 있는 소수의 그리스도인들일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구도자의 마음으로 하나님 알기를 소원하며, 겸손하게 교회를 사랑하고, 자기가 자라온 전통을 기억하고 존중하며, 이 전통을 발전시켜 후대들에게 선물로 남겨주려는 분들을 위해 이 글을 쓰고 있습니다.    

["네 부모를 공경하라" - 기억 공동체]

신학적 입장에 관한한, 장로교인들은 처음부터 역사적 개혁주의 신학을 전수받았습니다. 이 말이 의미하는 바는 현재 한국의 장로교인들이 지니고 있는 신앙과 신학은 어느 날 갑자지 태동한 새로운 신앙과 신학이 아니라, 신앙과 신학의 성실한 전승자들에 의해 우리에게 전해온 역사적 기독교신학을 신학적 정체성의 근간으로 삼았다는 것을 말하며, 여러 가지 역사적 기독교신학 전통들 가운데서도 특별히 '개혁주의 신학전통'(Reformed Theological Tradition)을 신학적 정체성으로 삼았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전통주의’가 아닌 ‘전통’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누군가가 잘 말했듯이 “전통은 죽은 자들의 살아있는 신앙이지만 전통주의는 살아있는 자들의 죽은 신앙입니다.” 만일 장로교인들이 비난을 받고 있다면, 그들의 신앙의 내용인 신학적 전통이 아니라 전통을 형식적으로 보수하고 있는 전통주의 때문일 것입니다. 어떤 형태의 ‘주의’(主義, -ism)든지 ‘주의’는 언제나 이데올로기화 되어 독선적이 되거나 독단에 빠져 마침내 자기우상화나 자기연민 혹은 자만 속으로 함몰하게 됩니다.

어느 누구도 세상에 혼자 태어나지 않습니다. 부모를 통해 가족 공동체 속으로 들어옵니다. 우리가 누구인지를 알기 위해 먼저 우리는 우리를 낳아준 부모가 누구인지 알아야 합니다. 이것이 ‘전통’에 대한 ‘기억’입니다. 오래 전부터 시작된 커다란 이야기(전통) 가운데로 들어온 우리는 이 커다란 이야기가 어떻게 전개되어왔는지를 살펴보고 기억함으로서 현재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의 정체성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기 시작합니다. 우리의 정체성은 주어진 것이며 만들어져온 것이며 형성되어가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누구인지를 이해하려면 먼저 우리가 서있는 전통에 대해 사려 깊은 이해와 기억이 필요합니다. 장로교인들은 자신들이 누구인지를 파악하고 이해하려면 단순히 몇 가지 원리로 환원되는 추상적 신학적 개념들을 파악하는 것으로만 충분하지 않습니다. 구체적이고 살아있는 전통을 이해해야합니다.
                                      
여러 가지 신학적 전통들이 있지만 내가 말하려고 하는 전통은 ‘개혁주의 신학적 전통’입니다. 다시금 강조해서 말하거니와, 각각의 신앙과 신학의 전통들은 단순히 현재 살아있는 사람들 사이의 동반자 관계나 연대감만을 대표하는 것이 아닙니다. 전통은 죽은 자와 산자 그리고 앞으로 태어날 자들 사이의 동반자 관계를 나타냅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전통은 넓게 말해서 개혁신학을 표방하는 신앙 공동체가 전수해준 신학적 전통 안에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고, 이 개혁주의 신앙공동체의 신학적 전통은 앞으로 올 세대에게도 전수되고 이어져 나갈 것입니다.

개혁주의 신학적 전통은 여러 기독교 신앙 전통들 중 하나입니다. 기독교 신앙을 표현하는 다양한 신학적 전통들로는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통교회, 루터교회, 재세례파 교회 등이 있습니다. 개혁교회 역시 기독교 신앙을 표현하는 여러 신학적 전통 가운데 하나입니다.

기독교 안에 있는 각 전통들은 자기들만의 독특한 해석학적 틀을 지닙니다.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 세상과 역사와 인간의 상황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각자만의 독특한 ‘해석학적 안경’을 갖고 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기독교인들은 이러한 주제들을 인식하는 원리를 성경에서 가져옵니다. 물론 실체와 경험에 대한 사람의 인식이 성경을 해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체들을 이해하려는 해석학적 틀의 중심에는 언제나 성경을 해석하는 일정한 방식이 있습니다. 개혁주의 신학은 모든 것을 성경의 빛 아래서 바라보고 이해하고 해석하려는 신학적 전통입니다. '오직 성경으로'(sola scriptura), '전체 성경으로‘(tota scriptura)라는 모토가 이것을 가리킵니다. 이 두 가지 문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뒤에 다루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기독교 신학의 전통은 그 해석의 양태를 표현하는 특정한 스타일들을 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활하는 양식, 사고하는 방식, 제도와 기관들을 구성하고 조직하는 방식, 예술을 표현하는 스타일, 예배하는 형식, 휴식하는 방식, 여가를 사용하는 스타일, 감정을 표출하는 형태, 상호간의 이견이 있을 때 풀어가는 스타일 등이 그것들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의 방식과 그 방식을 표현하는 스타일은 구체적인 이야기 형태를 띠고 전수되어옵니다.

따라서 개혁주의 신학 전통을 이해하려면 수많은 세월동안 그 정체성을 만들어온 역사적 이야기들을 떠나서는 불가능합니다. 구체적인 사건들 속에서 개혁주의 신학 전통은 태동하고 양육되고 형성되어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이야기들을 담고 있는 ‘전통-내러티브’는 신앙 공동체로서 개혁파 그리스도인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즉 그 공동체의 수많은 성공과 실패에 대해서, 신앙의 영웅들과 비열한 자들에 대해서, 겪었던 기쁨과 슬픔들에 대해서 ‘전통-네러티브’는 구체적으로 이야기 합니다. 종합하자면, “개혁주의 신학전통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개혁주의 신앙공동체가 어떻게 실체와 성경을 자기들 나름대로 독특하게 해석하고 있는지, 어떻게 그 해석을 자기들 나름대로 개성 있게 표현하는지를 이해해야합니다. 한걸음 더 나아가 역사를 통하여 자신의 모험적 여정에 대해 말하고 있는 그 이야기가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각주1) 사회학자들의 용어를 빌려 말하자면, ‘일관성의 문화’(culture of coherence)(각주2),  다른 말로 하자면, 공동체에 속한 일원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문화가 한 공동체와 사회를 공동체답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공동체는 '기억'(remember)이라는 마음의 기관을 통해서 공동체에 속한 일원들을 하나로 묵어주는 거대 담론(이야기)속으로 참여하여 그 내용을 전수받고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세워가며 후대에 그것을 전수합니다. 신앙공동체는 본질적으로 ‘기억 공동체’(community of memory)이기 때문입니다. (계속)


각주
1) Nicholas P. Wolterstorff, Keeping Faith: Talks for New Faculty at calvin College, Occasional Papers From Calvin College (Grand Rapids: Calvin College, 1997), p. 2.

2)  참조, Robert N. Bellah, Habits of the Heart: Individualism and Commitment in American Lif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5), pp. 152-155,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