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떠돌이 크리스천들을 위한 쓴 소리"

 

 

이런 저런 이유 때문에 지역 교회를 정하지 못하고 이리저리 돌아다니는 분들이 간혹 있습니다. 빠른 시간 내에 영혼의 보금자리를 찾기를 바랍니다. 교회는 안식처요 보금자리요 한 마리의 참새라도 안식을 얻는 성소입니다. 그러므로 방황하거나 유리하지 말고 하루 속히 집을 찾기 바랍니다.

 

한편 이리저리 교회를 순방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대부분 설교를 찾아다니는 사람들입니다. 그러나 요건 그리 좋은 일이 아닙니다. 마치 맛있는 음식을 찾아 이 식당 저 식당 돌아다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교회에 가는 것은 설교를 들으러 가는 것만은 아닙니다. 교회에 가는 것은 지역교회에 한 지체가 되어 그들과 함께 하나님을 예배하고 함께 신앙생활하기 위해서입니다. 지역교회에 적을 두고 한 멤버가 되어 그들과 함께 신앙생활을 하는 신앙의 식구가 되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손님처럼 방문하여 설교만 듣고 가는 형태는 아주 좋지 않은 병든 모습입니다.

 

요즈음 의외로 떠돌이 신자들이 많습니다. 떠돌이들 가운데 종종 신학 교수들이나 신학생들이 꽤 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들은 지역교회에 지체로서 다니지 않습니다. 마지못해 혹은 체면 때문에 적을 두거나 혹은 겨우 예배에 참석을 하지만 주로 설교를 듣고 품평하는 일에만 몰두 합니다. 또한 교회에서 사역하는 신학생들이나 목회자들 가운데 상당수가 신앙공동체의 한 일원으로서 살아가는 대신에 직업인으로 직장에 출근하듯 교회에 가는 사람도 많다는 불편한 진실이 있습니다.

 

교회는 일차적으로 지역교회여야 합니다. 교인은 지역교회의 한 일원이어야 합니다. 방황하는 신학생이나 목사나 교수는 먼저 지역 교회의 충실한 일원이 되어야 합니다. 단지 일을 위해 교회에 나가거나, 교회에 봉사하기위해 가거나, 혹은 의무방어전을 치루 듯이 교회에 가거나, 가더라도 설교를 듣기 위해, 혹은 설교품평을 하기 위해 가는 일은 영혼이 병들었다는 증상입니다. 모든 크리스천들은 하나님을 예배하는 일에 집중해야하고, 지역교회의 신실한 멤버로 남아 있어야 합니다. 교회는 일차적으로 일을 하기 위해서 가는 곳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방황하지 말고 어서 지역 교회에 정착하세요. 하나님께 예배하는 신실한 크리스천의 한 사람으로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새로운 홈페이지로 이사합니다. 관리자 2020.08.03 8443
공지 류호준 교수가 추천하는 한글 주석 [3] 류호준 2013.03.09 202422
834 짧은 글 모음: twitter@danielryou - 10 [1] 류호준 2011.01.29 7685
833 묵상을 위한 글: 그리스도께 뿌리 내린 ‘삶’ 류호준 2011.03.24 7641
832 묵상을 위한 글: “거짓된 안전감에 자리 잡지 않는 삶” 류호준 2010.08.21 7641
831 성령강림절 묵상(2): “바벨의 혼란과 오순절의 하모니” 류호준 2010.05.15 7634
830 "교회와 세상의 관계에 대한 WCC의 이해 변천" - 두 가지 모델 [2] 류호준 2012.01.06 7630
829 부모의 동의에 의한 능동적 안락사 류호준 2006.10.30 7604
828 짦은 글: "사면 문서를 배달하다!" 류호준 2009.10.20 7600
827 짧은 글: "맥추감사주일 유감" 류호준 2010.07.03 7584
826 묵상을 위한 글: “당신은 하나님의 사랑을 받고 사는 사람입니다.” 류호준 2010.12.19 7569
825 짧은 글: "MTD 유감" file 류호준 2010.07.29 7569
824 신앙교육: "튤립(TULIP)과 신앙(FAITH)" file 류호준 2010.11.12 7556
823 묵상을 위한 글: “예수님을 만나기전 먼저 세례요한을 만나세요!” 류호준 2010.12.11 7544
822 짧은 글: "기관실과 객실" file 류호준 2010.01.10 7533
821 [re] 창세기 1장에 나오는 류호준 2005.12.16 7532
820 나니아연대기에 대한 궁금증 김종훈 2005.12.16 7506
819 칼빈주석의 번역문제 김동원 2006.01.26 7503
818 짧은 글: “모순적 신앙의 영웅” 류호준 2010.04.23 7502
817 미쉬파트와 쩨다카의 의미 질문입니다. 이우용 2005.12.16 7502
» 묵상을 위한 글: "떠돌이 크리스천들을 위한 쓴 소리" 류호준 2013.01.19 7479
815 clean joke ("자녀들이 속을 썩일 때") 류호준 2006.11.09 7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