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그리스도, 우리의 목자”

요한복음 10:1-15

 

1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문을 통하여 양의 우리에 들어가지 아니하고 다른 데로 넘어가는 자는 절도며 강도요 2 문으로 들어가는 이는 양의 목자라. 3 문지기는 그를 위하여 문을 열고 양은 그의 음성을 듣나니 그가 자기 양의 이름을 각각 불러 인도하여 내느니라. 4 자기 양을 다 내놓은 후에 앞서 가면 양들이 그의 음성을 아는 고로 따라오되 5 타인의 음성은 알지 못하는 고로 타인을 따르지 아니하고 도리어 도망하느니라. 6 예수께서 이 비유로 그들에게 말씀하셨으나 그들은 그가 하신 말씀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니라. 7 그러므로 예수께서 다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나는 양의 문이라. 8 나보다 먼저 온 자는 다 절도요 강도니 양들이 듣지 아니하였느니라. 9 내가 문이니 누구든지 나로 말미암아 들어가면 구원을 받고 또는 들어가며 나오며 꼴을 얻으리라. 10 도둑이 오는 것은 도둑질하고 죽이고 멸망시키려는 것뿐이요 내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 11 나는 선한 목자라 선한 목자는 양들을 위하여 목숨을 버리거니와 12 삯꾼은 목자가 아니요 양도 제 양이 아니라 이리가 오는 것을 보면 양을 버리고 달아나나니 이리가 양을 물어 가고 또 헤치느니라. 13 달아나는 것은 그가 삯꾼인 까닭에 양을 돌보지 아니함이나 14 나는 선한 목자라 나는 내 양을 알고 양도 나를 아는 것이 15 아버지께서 나를 아시고 내가 아버지를 아는 것 같으니 나는 양을 위하여 목숨을 버리노라. (개역개정)

 

 

목자 이미지

 

“그리스도는 착한 목자시며 우리는 그의 양들입니다.” 이 선언에 대해 우리는 하품을 멈추며 “그렇습니다, 맞는 말입니다!”라고 시큰둥하게 대답합니다. 너무 흔하고 친숙한 말처럼 들리기 때문입니다. ‘목자와 양’ 이미지가 우리에게 충격적이지도 않고 그렇다고 깊은 감동을 주지도 않는다는 말입니다.

 

특히 도시에 사는 현대인들에게 ‘목자’라는 용어는 그렇게 피부에 와 닿지 않습니다. 목자는 기껏해야 성탄절 성극에 잠시 출연할 뿐입니다. ‘양’들은 어떤가요? 양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동물원에 가서야 몇 마리를 볼 정도입니다. 가끔 소리를 질러서 그렇지 양들 역시 조용한 동물입니다. 시키는 대로 하는 동물입니다. 어찌 보면 생각 없이 사는 동물입니다. 다른 짐승들처럼 앞장서서 길을 인도하는 역할은 못하는 동물입니다. 언제나 누군가를 따라가는 스타일입니다.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면 양몰이 개(셰퍼드)가 이리저리 따라다니면서 줄을 세우고 앞으로 몰아갑니다.

 

목자와 양에 관한 상징은 더 이상 현대인들에게 공감을 주거나 감동을 불러일으키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와는 달리 이스라엘의 남자와 여자들은 목자와 양의 비유를 들으면서 자랐습니다. 생생한 경험을 통해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초기 기독교인들 역시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들 모두는 유목민의 삶과 양을 치던 문화에 익숙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현대인들에게 목자와 양에 관한 상징은 별다른 감흥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이런 핸디캡 때문에 우리는 본문의 메시지를 잘 이해하기 위해 몇 가지 사전(事前)적 이해가 필요합니다.

 

구약성경에 따르면,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목자로 불렸습니다.

     ․ 자기 백성들을 양떼처럼 인도하시는 분(시 80:1)

     ․ 푸른 초원과 잔잔한 물가로 인도하시는 분(시 23장)

 

그러나 이런 목자의 모습은 그저 시적 표현이 아닙니다. 실제였습니다. 야곱이 임종하게 되었을 때, 그는 하나님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하나님은 내 평생 나의 목자였다”라고(창 48장). 후에 야곱의 후손들이 애굽에서 노예생활을 하고 있었을 때, 야웨 하나님은 그들을 양들처럼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었고, 광야를 지날 때도 그들을 양떼처럼 이끌어가셨습니다(시 78장).

 

이스라엘의 왕들 역시 일차적으로 목자의 역할을 하였고 그 후에야 왕들이었습니다. 그들은 목자가 그의 양떼들을 인도하고 먹이듯이 그렇게 자기들의 백성들을 먹이고 인도하고 이끌어야했습니다.

 

만일 그렇게 하지 않으면 하나님의 분노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즉 왕들이 목자가 아니라 삯꾼처럼 행동한다면 하나님께서 가만히 놔두지 않겠다고 하셨습니다. 예언자 스가랴의 말에 하나님의 분노를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양 떼를 버린 못된 목자에게 재앙과 화가 있을 것이로다! 칼이 그의 팔과 오른쪽 눈에 내리리니 그의 팔이 아주 마르고 그의 오른쪽 눈이 아주 멀어 버릴 것이라”(11:17)

 

신약성경에서 예수님은 목자로 가장 많이 묘사되고 있습니다.

    · 예수님은 자신을 이스라엘 집의 잃어버린 양들에게도 보냄을 받은 자로

      여기셨습니다(마태 15:24).

   · 예수님은 자기를 가리켜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나라를 그의 양들에게

     주시려고 나를 보내셨다고 하셨습니다(눅 12:32).

   · 예수님은 자기의 제자들을 ‘목자들’이라고 여기셨습니다. 베드로에게 하신

      말씀을 기억해 보십시오. “내 양들을 먹이라. 내 양을 치라”(요 21장).

 

훗날 베드로는 어떤 교회의 장로들에게 이렇게 편지를 보낸 적이 있습니다.

 

“너희 중에 있는 하나님의 양 무리를 치되 억지로 하지 말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 자원함으로 하며 더러운 이득을 위하여 하지 말고 기꺼이 하며 맡은 자들에게 주장하는 자세를 하지 말고 양 무리의 본이 되라. 그리하면 목자장이 나타나실 때에 시들지 아니하는 영광의 관을 얻으리라”(벧전 5:2-4).

 

 

이처럼 성경의 언어는 목자 이미지로 가득합니다. 그러나 목자 이미지를 오늘의 본문처럼 더 아름다고 멋지게 그려지고 있는 곳은 없을 것입니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문을 통하여 양의 우리에 들어가지 아니하고 다른 데로 넘어가는 자는 절도며 강도요 문으로 들어가는 이는 양의 목자라. 문지기는 그를 위하여 문을 열고 양은 그의 음성을 듣나니 그가 자기 양의 이름을 각각 불러 인도하여 내느니라. 자기 양을 다 내놓은 후에 앞서 가면 양들이 그의 음성을 아는 고로 따라온다.”

 

예수께서 자기 양들을 부를 때 언제나 양의 이름을 부릅니다. 당시 팔레스타인의 목자들이 양들을 부를 때 이름으로 부르는 것과 같습니다.

     · “흰 코야? 어떻게 이렇게 말랐니? 요즘 잘 먹지 않는구나?”

     · “검둥아, 너는 왜 항상 뒤처지니? 언제나 맨 꽁지네.”

     · “순둥아, 너 귀가 왜 이렇게 멍들었니? 어디서 다쳤니?”

 

예수님은 이렇게 친밀하게 우리를 아십니다.

     · 그분은 우리가 왜 투덜대는지 아십니다.

     · 그분은 무엇 때문에 우리가 들쭉날쭉 하는지 아십니다.

     · 그분은 우리가 무엇을 찾아 이리저리 입질하는지 아십니다.

     · 그분은 우리가 무엇 때문에 괴로워하는지 아십니다.

     · 그분은 우리의 멍든 상처를 아십니다.

     · 그분은 왜 우리의 심령이 쇠약해져 가는지 아십니다.

 

예수님은 시편기자가 하나님께 고백하던 기도를 아십니다. 시편기자가 이렇게 하나님께 고백한 일이 있습니다.

 

야웨여 주께서 나를 살펴보셨으므로 나를 아시나이다.

주께서 내가 앉고 일어섬을 아시고

멀리서도 나의 생각을 밝히 아시오며

나의 모든 길과 내가 눕는 것을 살펴보셨으므로

나의 모든 행위를 익히 아시오니

야웨여 내 혀의 말을 알지 못하시는 것이 하나도 없으시니이다.

(시 139:1-4)

 

“나는 선한 목자다. 나는 내 양을 안다”라고 예수께서 말씀하십니다.

 

 

우리를 아시는 예수님: 복음의 핵심

 

우리 크리스천들의 신앙은 이러한 확증으로 시작합니다. “나는 선한 목자다. 나는 내 양을 안다”는 확증이 우리들의 신앙의 출발점입니다. 다시 말해 “우리가 예수님을 안다”고 말하는 확증이 아닙니다. 이런 확증은 나중에 오는 것입니다. 우리의 확증은 “예수께서 우리를 아십니다!”로부터 시작됩니다. 예수님은 우리를 아신다는 말의 뜻은

     · 우리가 누구인지,

     · 우리가 어떤 형편에 있는지,

     · 우리가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지,

     · 우리가 무엇 때문에 괴로워하고 있는지,

     · 우리가 무엇을 갈망하고 있는지,

     · 우리가 무엇 때문에 상처를 입었는지,

     · 우리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를 아신다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우리를 아십니다!” 이것이 신앙의 핵심이며 출발점입니다.

 

 

“예수님은 우리를 안다”는 사실에 대해 요한복음은 여러 가지 예를 들어 말씀합니다.

 

[나다나엘] 어느 날 예수께서 나다나엘이 자기에게 오는 것을 보시고 그를 가리켜 이르시되 “보라 이는 참으로 이스라엘 사람이라. 그 속에 간사한 것이 없도다.” 그러자 놀란 나다나엘이 이르되 “어떻게 나를 아시나이까?” 하였습니다. 그러자 예수께서 대답하셨습니다. “빌립이 너를 부르기 전에 네가 무화과나무 아래에 있을 때에 보았노라”(요한 1:47-48). 그렇습니다. 예수님은 자기 양을 알고 계십니다.

 

[사마리아 여인] 사마리아 여인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십시오. 예수님은 그녀에게 남편을 불러 오라고 하셨습니다. 그러자 그녀는 남편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예수님은 “그래, 남편이 없다고 말하는 네 말이 맞다. 그러나 너에게는 남편이 5명이 있었지. 지금 함께 사는 사람도 네 남편이 아니지?” 그렇습니다. 예수님은 자기 양을 알고 계십니다.

 

[베드로] 베드로 이야기를 기억해 보십시오. 예수께서 베드로에게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베드로가 대답합니다. “주님, 주님께서 모든 것을 아십니다. 제가 당신을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주님은 아십니다.” 그렇습니다. 예수님은 자기의 양을 아십니다.

 

그분은 우리 각 사람을 알고 계십니다.

     · 그분은 우리 가운데 누가 길을 잃었는지,

     · 누가 곁길로 나가고 있는지,

     · 누가 상처를 입었는지,

     · 누가 병들었는지를 아십니다.

  

이것이 ‘좋은 소식’(복음)입니다. 예수님께서 항상 우리에게서 눈을 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이보다 더 좋은 소식이 어디에 있겠습니까? 이 복음을 기억하십시오.

 

 

☆☆☆☆☆☆☆☆☆

 

 

예수님과 우리 사이에 있는 가상 대화입니다.

     예수: “나는 선한 목자다. 나는 내 양을 안다.”

     우리: “선한 목자님, 어디로 가시는 것입니까?”

     예수: “방황하는 내 양을 찾으러 간다.”

     우리: “어디까지 가시렵니까? 얼마나 멀리 가시는지요?”

     예수: “내 양이 있는데 까지”

     우리: “그곳이 어딘데요?”

     예수: “이 세상 끝까지!”

     우리: “언제까지 그렇게 하실 것입니까?”

     예수: “찾을 때까지”

     우리: “찾으신다면 그 양이 당신께로 올까요?”

     예수: “아니, 내게서 도망할걸!”

     우리: “어디로 가는데요?”

     예수: “바위나 모래 있는 곳으로!”

     우리: “그럼, 언제나 멈춘답니까?”

     예수: “더 이상 도망할 힘이 없어질 때까지겠지!”

     우리: “그러면 그들을 어떻게 하시겠어요?”

     예수: “등에 업고 집으로 와야겠지!”

 

 

이름을 부르시는 예수님

 

예수님은 자기 양들을 부를 때 이름으로 부릅니다. 이 소박하고 단순한 말속에 들어있는 ‘좋은 소식’을 그냥 지나쳐 버리지 마십시오. 그분이 우리를 부를 때 우리 ‘이름’을 부르신다는 사실입니다. 불행하게도 현대인들은 숫자 화 되어 있습니다. 번호가 매겨져 있다는 말입니다. 인격성이 제거된 물품들처럼 말입니다.

     · 우리는 숫자 화된 사람들이입니다.

     · 현대인들은 계량화된 사람들입니다.

 

우리의 정체성은 우리가 갖고 있는 번호들과 숫자들 속에 들어있습니다. 우리가 누군가를 알려면, 우리들의 전화번호, 은행 계좌번호, 운전면허증번호, 주민등록증번호, 신용카드번호를 알면 됩니다. 우리의 신분이 드러납니다. ‘이름들’과 ‘얼굴들’이 있는 인간이 이제는 숫자로, 분류방식으로, 추상적인 번호로 축소 환원 되어버린 것입니다. 하기야 숫자나 신분이나 추상적 번호를 미워하고 욕하는 것이 이름을 가진 사람을 미워하고 욕하는 것보다는 훨씬 쉬울 것입니다!

 

여러분들 중 많은 분들이 영화 "쉰들러의 명단"(Schindler's List)을 보셨을 것입니다. 영화의 끝부분에 체코슬로바키아에 있는 오스카 쉰들러의 군수품 제조공장으로 가야하는 일군의 유대인 여성들이 서류 실수로 그만이야 아우슈비츠의 포로수용소로 보내지게 됩니다.

 

자비와 긍휼의 천사로 바뀐 독일인 기업가 쉰들러가 장면에 등장합니다. 그는 닥쳐올 죽음에서 자기 노동자들 중 얼마라도 뒤로 빼내어 살리려고 애를 씁니다. 뇌물을 주고서 그들을 살리려고 했지만 독일 나치의 친위대 장교(Schutzstaffel)가 거절합니다. 헝가리에서 곧 가축열차가 도착하게 되는데 그 안에 실려 있는 다른 죄수들을 대신 가져가라는 것입니다. 그런 가운데 나치 친위대 장교가 이렇게 말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여보, 당신이 그렇게 굳이 ‘이름들’에 집착할 필요는 없지 않소?” 꼭 당신이 거명한 이름들만을 고집할 필요는 없지 않느냐는 말이었습니다. 그냥 대충 비슷한 숫자의 사람들을 가져가면 되지 않느냐는 것이었습니다.

영화 “쉰들러의 명단”은 반복해서 ‘이름들의 힘’이 얼마나 큰지에 대해 우리들에게 외칩니다. 이 영화는 ‘쉰들러의 명단’에 들어있는 1,200명의 유대인들의 이름들, 다시 말해 쉰들러가 끝까지 싸워 죽음을 면하게 된, 쉰들러의 명단에 이름을 올린 1,200명의 유대인들의 이름들을 우리에게 상기시킵니다.

 

전몰자 기념비에 쓰인 죽은 자들의 이름들을 불러 보십시오. 얼마 전 천안함 침몰로 죽은 비운의 장병들의 이름을 불러보십시오. 소름끼치는 경험일 것입니다. 이름을 부른다는 것이 얼마나 강력한 힘을 갖고 있는지를 알게 될 것입니다.

 

이 영화는 반복적으로 우리에게 죽어간 사람들의 이름들과 생존한 몇몇 사람들의 이름들을 상기시켜줍니다. 이 영화는 감동적인 헌사로 끝을 맺습니다. 대학살에서 생존한 쉰들러의 유대인들과 그들의 후손들 약 6,000명이 쉰들러에게 바치는 헌사입니다.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예루살렘에 있는 쉰들러의 무덤 앞에 모여 쉰들러를 기억하는 장면입니다. 이 장면과 함께 화면 위에는 그들의 이름들이 소리 없이 지나갑니다. 이름! 이름을 부른다는 것이 어떤 힘이 있는지를 보여주는 절정입니다.

 

예수님은 자기 양들을 이름으로 부릅니다. 우리는 그분의 명단에 있습니다. ‘쉰들러의 명단’처럼, ‘예수님의 명단’에 말입니다. 예수님은 자기의 양들을 이름으로 불러 인도하여 냅니다. 예수께서 자기에게 속한 모든 자들을 불러 낸 후에 그들 앞에 가시면서 그들을 인도하십니다.

 

 

앞서 가시는 예수님

 

예수님은 우리 앞서서 우리를 인도하여 미래를 향해 나가십니다. 미래를 향해 앞장서서 가신다는 말입니다.

 

미래? 우리는 미래에 대해 말할 때마다 걱정이 앞섭니다. 미래가 어떻게 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여러분의 나의 삶이 전개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무슨 일을 만날는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말합니다. 우리는 앞을 모릅니다. 우리 앞에 있는 것을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읽은 복음서 이야기가 말씀하는 것이 정말로 맞는다면, 달리 말해, 목자로서 예수께서 우리 앞에 앞서 가시고 계시다면, 우리가 걸어가는 미래는 이미 그리스도의 임재와 현존으로 채워져 있다는 것입니다. 앞으로 우리가 만나게 될 모든 환경에서 그분의 신실하신 사랑과 변치 않는 친절하심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는 것입니다.

     · 그러므로 미래는 결코 공허하거나 텅 비어있지 않습니다.

     · 미래는 우리가 채워야할 공백이 아닙니다.

     · 미래는 이미 그리스도의 현존과 임재로 채워져 있습니다.

 

이것이 복음이며 좋은 소식이며 기쁜 소식입니다. 이것을 알게 되면 우리의 삶은 엄청난 차이가 생길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들의 삶을 종이 위에 그려진 하나의 선(線)처럼 생각하며 삽니다. 다시 말해 그들은 종이 위에 수평적 선 하나를 그립니다. 이 선은 그들의 순례의 삶을 상징합니다. 그리고 수평적인 선 위에 여러 개의 수직적 선을 교차로처럼 그려 넣습니다. 이 수직적 선들은 하나님께서 그들의 삶에 개입하신 것을 표시하는 선들입니다.

 

그리고 말합니다.

     · 여기 보세요. 이 교차지점 말입니다. 여기가 하나님을 만났던 곳입니다!

     · 여기 보세요. 이 교차점이 보이시지요? 제가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했던

       때입니다!

     · 이 교차점은 하나님께서 저에게 말씀하셨던 때입니다!

     · 이 교차점은 하나님께서 저를 꽉 붙잡으셨던 때입니다!

 

자, 이분들이 말씀하신 것은 틀린 말은 아닙니다. 맞는 말입니다. 그러나 온전한 진실은 아닙니다. 그렇다고 최상의 진실도 아닙니다. 여러분의 삶의 이야기가 종이 위에 그린 수평적 선과 같다고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하나님은 다른 선(線)이란 말입니까? 수직적인 선이 하나님이란 말입니까? 수평적인 삶은 여러분 자신의 삶이고, 간혹 긴급하게 하나님이 필요할 때나 혹은 하나님께서 긴급하게 여러분의 삶에 개입하실 필요가 있을 때 하나님께서 여러분의 수평적인 삶에 가로질러 들어오신다는 말입니까? 그런 수직적인 선이란 말입니까? 그것은 아니지요! 그렇지 않습니다.

     · 하나님은 또 다른 선이 아닙니다.

     · 하나님은 교차하는 수직적 선도 아닙니다.

 

하나님은 종이 자체이십니다! 그 위에 우리는 수평적 선을 그리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수평적 선이 그려지는 종이 그 자체입니다.

 

하나님은 모든 지점에서, 모든 순간에서, 모든 상황에서 우리를 둘러 감싸고 계십니다.

     · 하나님께서 이미 계시지 않은 곳은 없습니다.

     · 그분의 선하심과 자비가 우리의 삶을 터치하시지 않는 곳은 한 곳도

       없습니다.

     · 하나님의 선하심과 인자하심이 우리 평생에 우리를 따를 것입니다.

     · 우리의 순례의 선은 그분의 종이 위에 그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지나간 과거를 용서하셨을 뿐 아니라, 지금도 우리와 함께 하십니다. 그런 하나님께서 자신의 선하심과 신실하심으로 가득 채워져 있는 미래로 우리를 이끌어 가실 것입니다. 이것이 복음입니다. 좋은 소식입니다. 그분이 이끌어가는 삶입니다.

 

그러므로 신앙공동체 안에 계신 여러분들이여! 미래에 대해 걱정하고 염려할 때, 앞으로 어떻게 될까, 무슨 일이 일어날까 하며 두려워할 때마다, 이 사실을 생각하십시오. 예수께서 우리 앞서 가셨다는 사실을!

 

나의 미래를 준비하시려고 먼저 가셨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삶에 대한 우리의 태도는 엄청나게 달라질 것입니다. 심지어 죽음 앞에서도 그럴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분은 우리의 영원한 집을 준비하기 위해 앞서 가셨기 때문입니다. 이 얼마나 큰 위로와 힘과 용기가 되는 사실입니까!

 

저는 여러분이 처해 있는 특정한 상황과 문제에 대해 잘 알지 못합니다. 여러분이 어떤 문제로 걱정하는지 저는 모릅니다. 그것이 건강문제인지 자녀문제인지 직장문제인지 사업문제인지 결혼문제인지 인간관계의 문제인지 저는 잘 모릅니다. 그러나 한 가지는 분명히 알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미래는 결코 공허하거나 비어있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예수님께서 여러분 보다 먼저 가시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중동지방에서, 목자가 해야 할 일차적 임무는,

      · 자기의 양떼보다 앞서서 간다는 것입니다.

      · 자기 양떼보다 앞서서 초원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 풀을 뜯을 수 있는 넓은 초원을 살피는 것입니다.

      · 분별력이 없는 양들이 쉽게 뜯어 먹는 독초들을 제거하는 일입니다.

      · 양들의 혀와 입술에 상처를 내는 가시덤불을 잘라 내는 일입니다.

      · 뱀과 전갈 둥지를 걷어내 없애버리는 것입니다.

 

선한 목자이신 예수님은 이렇게 우리의 미래를 준비하시고 계십니다. 이런 일을 하시고 있기 때문에 주님의 선하심과 인자하심이 정녕히 우리가 사는 날 동안 우리를 따를 것입니다. 아멘.

 

[무지개 교회 주일 설교 전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류호준 교수의 무지개성서교실이 http://www.rbc2020.kr 로 리뉴얼하여 이전합니다. 류호준 2020.08.24 4398
공지 "무재개 성서교실은 여러분께 드리는 선물입니다!" [5] 류호준 2018.03.29 2928
269 신학에세이: “성례(聖禮)로서 인간의 성(性)” file 류호준 2010.09.10 16360
268 설교: “예수: 사람의 아들(人子)” 류호준 2010.09.05 11576
267 로마서 묵상(22): “정자(精子)인가 약속인가?” file 류호준 2010.08.31 9487
266 로마서 묵상 (21): “크리스천의 슬픔” [1] file 류호준 2010.08.31 11679
265 생활 에세이: "물 먹이시는 하나님!" [8] 류호준 2010.08.06 12486
264 신학 에세이: "하나님, 당신께 실망했습니다"(예레미야의 고백) [2] 류호준 2010.07.26 12259
263 회고 에세이: " “쓰지 말아야 했던 편지” [7] file 류호준 2010.07.23 20833
262 설교: “나는 나다!” 류호준 2010.06.29 17417
261 신앙교육(54): "성찬의 유익들" 류호준 2010.06.21 10698
260 설교: “너희는 소금과 빛이다!” [1] file 류호준 2010.06.20 13309
259 신학 에세이: “그리스도, 절대적 중심점” file 류호준 2010.06.13 14543
258 신앙교육(53): "성만찬 (II)" file 류호준 2010.06.12 9068
257 신앙교육(52): "성만찬 (I)" file 류호준 2010.06.05 8851
256 설교: “그냥 야곱으로 남아 있게나!” 류호준 2010.05.30 12155
255 설교: “성령께서 하시는 일들”(성령강림절) 류호준 2010.05.23 11911
254 설교: “하나님의 뒷모습” 류호준 2010.05.16 13242
253 신앙교육(51): "유아세례를 베푸는 이유" file 류호준 2010.05.15 10667
252 신앙교육(50): "세례의 의미" 류호준 2010.05.09 11411
251 에스겔서 강론(8): “새로운 성전” 류호준 2010.04.26 10625
» 설교: "그리스도, 우리의 착한 목자" 류호준 2010.04.25 9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