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bow Bible Class

서 평

 

한스 크리스토프 슈미트,구약학 연구 안내서: 구약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차준희, 김정훈 (공역) (대한기독교서회, 2014), 744p. 39,500

 

* 서평은기독교사상20155월호에 실렸습니다 *

 

구약을 어떻게 공부할까?”라는 한글 제목으로 출판된 본서는 독일의 저명한 구약학자인 한스-크리스토프 슈미트가 평생을 바쳐 연구한 구약학 안내서의 결정판이다. 원서는 2005년에 출판되었고 2011년에 개정 3판을 찍어냈다는 사실만으로도 본서가 독일어권 구약학 연구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가늠할 수 있다. 본래 본서와 같이 구약개론을 포함하는 구약학 연구 안내서의 저술은 아무나 하는 것은 아니다. 구약학 전체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시야를 지닌 원숙한 학자들이 저술하는 것이 마땅하다. 마치 특정한 학문의 입문안내나 개론 강의는 갓 학위를 취득한 신진학자들 보다는 그 분야에 오랜 경험을 가진 교수가 해야 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원서 제목은구약성서 학습서: 이스라엘 역사와 구약성서의 기본 특징들이다. 이 제목 안에 본서의 성격과 특징들이 가지런히 들어 있다. 달리 말해 본서는 구약성서를 제대로 이해하고 공부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차원을 다루어야 한다고 말한다. 하나는 이스라엘 역사의 기본 특징을 알아야 구약성서를 올바로 이해할 수 있다는 주장이고, 또 다른 하나는 구약성서 자체의 특징들을 살펴보는 일이다. 그런데 여기서 놓쳐서는 안 될 사항은 첫 번째 차원과 두 번째 차원은 불가분리의 관계라는 주장이다. 이스라엘의 역사는 단순히 팔레스타인의 역사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구약성서와 관계를 맺고 있는 한에서의 이스라엘 역사라는 뜻이다. 이 말은 이스라엘 역사는 단순히 객관적 자료에 의한 역사 재구성이 아니라 구약성서가 증언하고 있는 사상적 특성 안에 들어 있는 역사적 사실들을 재구성함으로써 드러나게 된다는 뜻이다. 따라서 이스라엘 역사도 신학의 한 분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이런 이유 때문에 슈미트 박사는 본서를 서로 상호보완적인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저술하고 있다. 그의 말을 직접 들어보자면, “이스라엘의 역사는 역사 연구 자체를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교회의 정경인 성서본문의 해석을 위해 쓰여지고 있다”(23)

 

1부에선 구약시대의 이스라엘 역사를 개관한다. 슈미트 박사는 엡센(Jepsen)의 연대자료를 따라서 이스라엘 역사를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한다. I. 국가 성립 이전 시기(기원전 1400-1000); II. 왕정시대(기원전 1000-587); III. 고대근동 대제국들의 속국으로서의 이스라엘’(기원전 587-164). 슈미트 박사에 따르면 국가 성립 이전 시기는 주로 그 이전부터 내려오는 전승들(, 족장 전승, 모세 전승, 여호수아와 사사시대의 전승)을 통하여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승들은 아무런 가필이나 채색 없이 모두 그대로 순전하게 전해 내려온 것들이 아니라 왕정시대에 와서 오경과 여호수아와 사사기가 문서화되면서 자연스레 왕정시대의 안목으로 선택되고 가필되고 채색되었다는 것이다. “이런 전승들은 우선적으로 왕정 시대의 경험들을 반영하며, 따라서 이스라엘의 선사시대에 해당되는 사건들의 관련성은 왕정이라는 현재적 의미에 대한 고려 하에서 비로소 설명될 수 있다.”(26)

 

이렇게 하여 슈미트 박사는 자연스럽게 이스라엘의 왕정시대를 이스라엘 역사 논의의 중요한 시발점으로 삼는다(39-121). 그리고 앞서 이야기 한 대로 이 지점에서 슈미트 박사는 이스라엘이라는 국가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전승들을 논의한다. 즉 이스라엘 국가 이전 시대인 선사(先史) 시대를 반영하는 족장 전승들, 모세전승, 출애굽 전승, 하나님의 산 전승과 시내산 전승, 광야 전승, 땅 정착 전승, 사사 전승과 중앙제의(암픽티오니) 가설을 중심으로 한 지파동맹 등을 왕정 시대의 안목과 이념 안에서 설명하고 해석해 내려간다.(122-178) 마지막으로 슈미트 박사는 이스라엘이 고대근동 대제국들의 속국으로서 살아가는 시기를(기원전 587-164) 이스라엘 역사의 마지막 연대 구분으로 잡는다. 이 시기는 바벨론 포로 시대를 거쳐 예루살렘 성전제의의 재정립, 페르시아 왕국 속에서의 이스라엘, 마지막으로 알렉산더 대제의 팔레스타인 정복과 그 후대 왕조들의 팔레스타인 지배 그리고 마카베오의 반란과 봉기로 공식적인 이스라엘 역사는 끝을 맺는다. 마케베오 봉기 사건을 이스라엘 역사의 마지막 시기로 잡은 이유를 슈미트 박사는 구약시대의 가장 후대에 기록된 구약의 책인 다니엘의 묵시록이 마카베오 전쟁 시기에 기원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여기서도 슈미트 박사는 제 1부인 이스라엘 역사는 제 2부의 구약성서 본문의 해석을 위해 기술되고 있다는 점을 다시금 각인시킨다.

 

슈미트 박사는 본서의 1부인 구약시대의 이스라엘 역사 개관기술의 관점과 시각을 다음과 같이 요약적으로 밝히고 있다. “구약의 자료층을 근거로 볼 때 이스라엘 역사는 왕정시대로부터 시작된다. 그것은 동시대의 문서자료들이 그때에 비로소 등장하거나 재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이보다 앞선 국가형성 이전 시대에 대해서는 단지 민담전승만 존재할 뿐이며, 그러므로 이 시기들은 왕정 시대의 전통들하에서만 다뤄질 수 있다.”(5)

 

그렇다면 우리는 본서의 제 2부인 구약의 문서들, 즉 구약성서의 각권들에 대해 슈미트 박사가 어떻게 진술할 것인지 예견할 수 있다. 앞서 슈미트 박사는 이스라엘 역사 기술이 왕정 시대에 문서화되었다고 말한 적이 있다. 이스라엘의 정체성을 수립하기 위해서 문서화가 이루어졌다는 뜻이다. 특별히 구약의 오경과 역사서의 문서화 작업은 수많은 다양한 고대 전승들을 선별 발췌 각색하여 왕정 당대의 경험들을 반영하도록 하였다는 말이다. 이런 의미에서 옛 전승들에 나타난 사건들의 역사성은 그리 중요한 요소는 아니다. 역사적으로 그런 사건들이 발생했는지는 중요한 사안은 아니고 단지 그러한 전승들이 무엇을 가리키고 있으며, 그런 전승들을 사용하여 왕정 당시의 이스라엘의 문헌 역사 기술가들(요즘 말로 역사신학자들)이 지향하고자 하는 신학이 무엇이었는지를 밝혀내는 것이 구약학자들의 주된 임무라는 것이다. 따라서 슈미트 박사는 구약의 각권을 다루면서 전승들을 매우 중요시 여기게 된다. 그는 오경을 다루면서 발전된 문서가설을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된다(257-346). 예를 들어 제사장 문서(P), 야위스트 문서(J), 엘로히스트 문서(E)과 같은 문서의 층(layer)들이 오경 안에서 발견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서층들은 각각의 신학적 경향성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물론 최종적인 형태의 오경도 편집과정을 통해 신학적 관점이 반영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362-364). 역사서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슈미트 박사는 구약의 역사서를 신명기 역사서(신명기로부터 열왕기하까지)와 역대기 역사서(역대기와 에스라 느헤미야)로 나누어 논하면서 서로 다른 신학적 전승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예언서를 다루면서 슈미트 박사는 양식비평학에 따라 예언신탁의 양식, 삶의 정황, 그리고 신학적 의도 등을 다룬다. 동시에 각 책의 기원사를 다루는데, 각 권에 들어 있는 문서층, 전승층 들을 추축해 본다. 시가문학을 다루는 부분에서도 헤르만 쿵켈의 양식비평학을 따라 시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히브리시의 특성을 지나가면서 언급한다. 지혜문헌의 삼중주인 잠언과 욥기와 전도서를 논하면서 각권의 삶의 자리(Sitz im Leben)과 신학적 의미를 밝혀낸다. 마지막으로 묵시문학인 다니엘서를 다루는데, 여기서도 책의 기원사와 연대설정과 신학적 의미를 설명한다.

 

* * *

 

문헌을 연구하는 해석 방법론에는 크게 통시적 연구(diachrony)과 공시적 연구(synchrony)가 있다. 통시적이라 함은 연구하고 조사하는 문헌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발전되어 현재의 형태를 띠게 되었는지를 다룬다. 여기에는 사용된 자료들을 따져보고, 어떤 양식들과 어떤 전승들이 사용되었는지를 살핀다. 자연스레 문헌 안에 들어 있는 자료층과 전승층 들을 찾아내어 각각의 자료층과 전승층들을 재구성하기도 한다. 논리적 추측과 가설이 절대 필요하다. 한편 공시적이라 함은 현재의 최종본문을 있는 그대로 살피는 방법이다. 물론 그 안에 다양한 자료층과 전승층들이 있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중요한 것은 현재 있는 그대로의 본문 상태 즉 본문의 현재적 구성과 형식이 보여주고 있는 본문의 메시지를 찾는 일이다. 성서학의 연구 역사를 보면 전통적으로 통시적 연구 방법이 대세였다. 그리고 그 연구방법을 주도하는 본산은 독일학계였다. 독일의 구약학은 구약의 문서를 일차적으로 고대의 역사적 문서로 보았고, 따라서 구약은 역사비평의 대상이었다. 달리 말해 통시적 연구의 대상이었다. 이런 점에서 슈미트 박사의 본서도 이와 같은 오랜 독일 학풍의 끝자락에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본서를 읽으면서 다시금 구약이란 문헌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하는 질문을 되뇌어 본다. 단순화의 오류를 감수하고서라도 포괄적으로 말해서, 구약문헌을 고대의 역사적 문헌(historical document)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기독교(와 유대교) 신앙공동체를 위한 경전(Scripture)으로 볼 것인가 하는 물음이다. 고대문헌으로 본다면 고문헌학자의 치밀성과 역사학자의 객관성은 필수적이다. 물론 고대문헌으로서 구약 문헌 안에는 수많은 자료층(전승들)이 복합적으로 섞여있을 수 있다. 그 다양한 층들을 분석하고 분리해 나가는 데는 상당한 조심성과 객관성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작업은 학자들의 유식한 추측과 가설 위에 세워진다는 사실 또한 진실이다. 이것이 문헌을 소위 역사비평학적으로 다루는 일의 실상이다. 달리 말해 문헌에 대한 통시적 연구(diachrony). 슈미트 박사의 본서는 이런 전통에 선 방대하고 치밀한 작품이다. 본서는 구약 본문 자체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라기보다는 구약 본문 뒤에 있는 것들에 대한 자세한 연구서라 할 수 있다.

 

어쨌든 슈미트 박사는 자신의 저술 목적과 방법론을 먼저 기술하고 그에 따라 충실하고 철저하게 작업을 해 나갔다. 무엇이 그의 저술목적과 방법론이었던가? 특별히 그가 구약문헌들의 기원사(예를 들어 전승들)를 본서의 핵심적 출발점으로 삼은 것은 그 문헌들의 신학적 진술들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라고 하였다. 기원사를 통해 파악된 각 문서층에 나타나는 중심적인 신학적 특징들을 재현하는 것이 본서의 목적임을 밝혔고, 나는 그가 그 일에 충분한 성공을 거두었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한국적 상황에서 본서의 사용은 많은 아쉬움을 남긴다. 한국의 신학대학원에서 이 책의 유용가치가 얼마나 있을까 하는 아쉬움 때문이다. 구약 문서에 대한 수많은 정보(information)들은 제공하고 있지만, 그 정보들을 통하여 얼마나 독자들의 신학이 건강하게 형성(formation) 될는지는 미지수이기 때문이다. 독일 신학도들을 위한 구약학 분야의 기본 학습서는 분명하겠지만 한국의 신학생들의 구약학 분야의 기본 학습서이기에는 뭔가 방향이 맞지 않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가시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서는 현대 서구의 구약학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필수적 책이어야 함에 틀림없다. 방대하고도 치밀한 구약학 안내 책자의 출간을 진심으로 축하하는 바이다.

 

류호준 목사 (백석대학교 대학원, 신학 부총장, 구약학)

슈미트.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류호준 교수의 무지개성서교실이 http://www.rbc2020.kr 로 리뉴얼하여 이전합니다. 류호준 2020.08.24 1584
1123 왔다 갑니다. [2] 성훈 2015.05.20 2251
1122 김활 입니다. [2] 김활 2015.05.13 2267
1121 신반포중앙교회 사경회 [2] 하학승 2015.05.07 3312
1120 신간 소개: 리처드 보컴 『예수와 그 목격자들: 목격자들의 증언인 복음서』 file 류호준 2015.04.25 3572
1119 프래드 B. 크래독 교수의 귀향(歸鄕) file 류호준 2015.04.22 3375
1118 로버트 슐러 목사 서거 file 류호준 2015.04.21 2551
» 서평: 한스 크리스토프 슈미트,『구약학 연구 안내서』(대한기독교서회) file 류호준 2015.04.07 3064
1116 신간소개: 칼 트루먼,『교리와 신앙: 교회에게 버림받은 성경적 신앙고백』 [1] file 류호준 2015.03.04 3040
1115 "하늘 나그네" [1] 김영희 2015.01.27 2630
1114 추천도서: 권영진,『성경, 오해에 답하다』(새물결플러스, 2015) file 류호준 2015.01.27 3708
1113 교수님, 부탁드립니다. [2] secret 김인숙 2015.01.19 27
1112 정말 감사합니다!! [2] 김영희 2014.12.31 2554
1111 신간 소개: 엘리 위젤, 『샴고로드의 재판』 하진호, 박옥 (포이에마, 2014) file 류호준 2014.12.27 3800
1110 정말 오랫만에 들렀습니다. [1] 코헬레트 2014.12.10 2957
1109 신간안내: 그레고리 K. 비일,『예배자인가 우상숭배자인가』 file 류호준 2014.11.28 3618
1108 신간 소개:『미러링: 더 깊은 묵상』 file 류호준 2014.11.27 3908
1107 [가을] file 조용순 2014.10.20 2962
1106 책소개: 게르하르트 마이어의『성경해석학』 file 류호준 2014.09.27 9254
1105 교수님 인사드립니다.ㅎㅎㅎ [2] 투덜이스머프 2014.09.26 3262
1104 책소개: 토마스 G. 롱,『고난과 하나님의 뜻: 악과 고통, 그리고 신앙의 위기』 file 류호준 2014.09.25 5616